서울에 거주 중인 무자녀 20∼40대 남성은 부모가 될 의향을 조금씩 보이고 있으나 여성은 그렇지 않았다.
지난 23일 서울시 가족센터가 발간한 2024 서울가족보고서에 따르면, 자녀가 없는 20∼40대 서울시민을 상대로 부모 될 의향을 1점부터 5점까지로 조사한 결과 평균 점수는 3.4점이었다. 이는 전년(3.2점)보다 오른 수치다.
앞서 지난해 7월 8일부터 14일까지 자녀가 없는 884명의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남성 응답자의 경우 부모가 될 의향 점수는 3.7점으로, 2021년·2022년의 3.3점, 2023년 3.5점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여성 응답자는 여전히 3.0점을 기록하며 2023년도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2021년·2022년의 2.7점보다는 높았다.
3점 이상인 응답자들에게 부모가 될 의향이 있다고 답변한 이유를 물은 결과, '사랑을 줄 존재가 생겨서' 3.9점, '사랑하는 사람의 아이를 갖고 싶어서' 3.8점, '자녀를 키우는 보람, 즐거움 때문에' 3.7점 순으로 응답이 나왔다.
3점 아래인 여성과 남성은 '기대만큼 자녀를 잘 키울 자신이 없어서'를 가장 많이 꼽았다.
'한국 사회가 자녀를 키우기에 적절하지 않아서'도 여성 4.1점, 남성 3.6점으로 차이가 나타났으나, '자녀 양육·교육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등 경제적 여건에 대한 응답은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보고서는 "여성은 돌봄 책임자라는 전통적인 성 역할 기대가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여성이 부모 됨을 원치 않는 배경에는 주 양육자 역할에 대한 부담과 양육 친화적이지 않은 한국 사회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앞으로 저출생 대응 정책은 한국 사회의 문화적인 측면을 바꾸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