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7일(월)

"국회의원부터 잡아!"... 尹 대통령, 2차 계엄 언급했다는 진술 나와


윤석열 대통령 /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안이 가결된 직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강하게 질책하며 "비상계엄을 다시 선포하면 된다"고 말한 정황이 군 관계자들의 진술을 통해 드러난 것으로 전해졌다.


24일 한겨레신문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비상계엄 수사 전담팀이 지난해 12월, 국군방첩사령부 소속 간부 A씨를 상대로 비화폰 메시지방 삭제 이유를 조사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A씨는 "국회 계엄 해제 의결 직후, 용산 합참에서 정말 소름 끼치는 일이 벌어졌다"며 "그 상황이 단체대화방에 공유돼 유출을 우려해 삭제했다"고 진술했다.


또한 A씨는 당시 윤 대통령이 합동참모본부 결심지원실에 들어서며 김 전 장관에게 "국회의원부터 잡으라고 했는데"라며 고성을 질렀다고 진술했다. 이에 김 전 장관이 "인원이 부족했다"고 답하자, 윤 대통령은 "그건 핑계에 불과해", "국회에서 의결해도 새벽에 다시 비상계엄을 선포하면 된다"고 말했다는 내용이 단체대화방에 올라왔다고 전했다.


해당 메시지는 합참에 파견된 방첩사 요원이 박안수 당시 육군참모총장 옆에서 상황을 지켜본 뒤 실시간으로 공유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스1



이와 관련해 합참 관계자 B씨도 유사한 취지의 진술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한 것으로 알려졌다. B씨는 윤 대통령이 결심지원실에서 "핑계", "잡으라고 했잖아요", "다시 걸면 된다"는 말을 직접 들었다며, 이는 "국회의원 체포 지시" 및 "2차 계엄 선포를 의미한다고 생각했다"고 진술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은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통과된 지난해 12월 4일 새벽 1시 16분께, 합참 지하 결심지원실에서 김 전 장관, 박 총장 등과 회동 직전 나온 것으로 추측된다. 당시 현장에는 대통령실과 국방부, 경호처 관계자들이 동석해 있었고, 이후 대통령 지시에 따라 일부 인사들은 퇴실한 것으로 알려진다.


윤 대통령이 이후 "국회법 나와 있는 거 어디 없나, 법령집 있어?"라며 직접 법령집을 찾은 정황도 드러났다. 김철진 당시 국방부 군사보좌관은 검찰 조사에서 "윤 대통령이 국회에 500명 투입 보고를 듣고 '1천 명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며 "법령집을 가져오라고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또한 B씨는 "12월 3일 밤, 박 총장이 '국회의원 정족수'라고 적힌 문서를 들고 있었다"고 공수처에 진술했다. 그는 "내용 전체를 본 것은 아니지만, 국회 해제 의결이 정족수 미달로 무산되도록 검토하는 시도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증언들은 윤 대통령이 직접 2차 계엄을 시도하려 했다는 일각의 의혹과 맞물려 적잖은 파장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현재까지 해당 보도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