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 언론에 따르면 동해에서 잡힌 고등어에서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는 고래회충이 다량 발견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태평양에서 잡힌 고등어의 살코기 부위에서는 고래회충 As가 마리당 평균 15.3개체로, 동해 쪽 고등어의 2.1개체에 비해 많았다. 그러나 최근 조사에서는 동해 쪽 고등어에서도 As가 다량 검출되며 그 격차가 줄어들었다고 한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 동해의 두 해역에서 잡힌 고등어에서는 마리당 As가 평균 13.6개체와 9.7개체로 나타났다.
고래회충은 바닷물고기에 기생하며 내장 부위에서 살코기로 쉽게 이동하는 종류인 As와 물고기 체내에서 이동하기 어려운 Ap로 나뉜다.
과거에는 동해 쪽 고등어에서 As가 적었으나 이번 조사 결과, 동해에서도 다량 검출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이 회충은 최종 숙주가 고래로 알려져 있으며, 물고기와 해양 포유류의 먹이사슬을 통해 최종적으로 고래에 도달한다.
알은 고래의 대변을 통해 바다에 퍼지고, 물속에서 유충으로 성장한 후 갑각류와 여러 물고기, 오징어 등으로 이동하다가 성충이 되어 알을 낳는다.
초밥이나 덜 익힌 생선을 통해 인체에 들어오면 식중독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Ap는 내장만 제거하면 감염 위험이 낮지만, As는 더 위험하다.
감염된 생선을 섭취하면 몇 시간 내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이 발생하며 위염이나 위궤양과 증상이 비슷하다. 이는 고래회충이 위벽을 뚫고 나가려는 습성 때문이며, 외과적 수술로 유충을 제거해야 치료할 수 있다.
일본 국립감염증연구소의 스기야마 히로무 객원연구원은 "동해 쪽 고등어 섭취를 통한 식중독 위험이 태평양 쪽과 크게 다르지 않게 됐다"며 "이는 해수 온도나 해류 변화와 관련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고래회충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생선을 70℃ 이상의 끓는 물에 1분 이상 가열하거나 회를 잘게 떠서 먹는 것이 좋다.
민물고기도 기생충 감염 위험이 있어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 질병관리청은 자연산 민물고기를 생식하지 말 것을 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