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수들이 쉽게 미끄러지거나 땅이 파이는 문제로 '빙상 잔디', '논두렁 잔디'라는 별명이 붙은 서울월드컵경기장. 경기를 앞두고 잔디 복구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일 서울시설관리공단은 현재 잔디 교체 작업률이 70%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총 잔디 면적은 8740㎡다. 공단은 지난 7일부터 전체 잔디 면적의 약 30%에 해당하는 2500㎡ 이상을 하이브리드 잔디로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하이브리드 잔디는 천연잔디와 인조잔디를 각각 95%, 5%씩 섞어 만든 것으로, 가로 1m, 세로 10m 크기의 매트 형태 인조잔디에 천연잔디를 파종해 구조물에 천연잔디 뿌리가 엮여 자라는 방식으로 잔디 밀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FC서울과 대구FC 경기가 있는 29일 전까지 복구 작업을 마치는 것이 목표로 하고 있다. 잔디 교체 작업을 마치면 비료와 병충해 예방 시약을 뿌리는 사후 조치도 할 예정이다.
최근 K리그 선수들과 팬들 사이에서는 서울월드컵경기장 잔디 문제에 대한 원성이 끊이지 않았다. 이달 초 진행된 FC서울과 김천 상무의 '하나은행 K리그1' 경기는 열악한 잔디 상태로 인해 선수들의 부상 위험이 증가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서울의 공격수 린가드는 방향 전환 중 푹 팬 잔디에 발목이 걸려 넘어져 통증을 호소했고, 이후 자신의 SNS에 불만의 글을 게시했다. 김천의 정정용 감독 역시 "생각했던 부분들이 경기장 환경 때문에 변수가 생겼다"며 아쉬움을 토로한 바 있다.
서울월드컵경기장 잔디 상태가 급격히 악화한 배경에는 날씨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경기장에는 15~24도 사이 선선한 기온에 잘 자라는 한지형 잔디가 깔려있다.
그러나 현재 경기장은 지붕이 통풍을 막는 구조인데다 지난 여름 폭염과 강수에 따른 잔디 손상이 컸다는 분석이다.
또한 올해의 경우는 한국프로축구연맹이 2025시즌 K리그1 정규라운드를 역대 가장 이른 2월 22일 개막하기로 결정하면서 잔디 생육 기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고 시와 공단은 밝혔다. 당초 조기 개막에 따른 문제를 인지하고 일정을 조율했지만, 축구연맹이 강행했다는 입장이다.
이밖에도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프로축구 FC서울이 홈구장으로 사용 중인 경기장을 공연 대관 등에 활용하는 문제도 잔디 손상 원인으로 꼽힌다.
공단은 올해 잔디 개선 예산을 33억 원으로 3배 늘리고, 잔디 보호를 위해 공연 좌석 판매를 임시 제한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