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계속 지연되고 있다. 이를 두고 여러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이 헌재의 선고 지연은 단순한 절차적 문제가 아닐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지난 17일 오 시장은 TV조선 '뉴스9'에 출연해 "선고가 늦어지는 것은 이상징후"라며 "당초보다 각하나 기각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같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라고 밝혔다.
그는 선고 지연의 이유에 대해 "헌재 재판관들이 의견 일치를 보기 어려운 사정이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이어 "헌재 재판관들의 정치적 성향과 현재 상황을 감안할 때, 기각을 주장하는 분이 두 명, 각하 의견을 내는 분이 한 명 정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진행자가 오 시장이 '탄핵 찬성파'로 알려진 점을 언급하자, 그는 "탄핵소추를 하되 당론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페이스북에 쓴 적이 있지만, 이는 헌재의 사법적 판단을 받아보는 것이 사태를 수습하는 방법이라는 취지였다"며 "이를 두고 탄핵 찬성으로 분류하는 것은 무리"라고 해명했다.
탄핵심판 선고 후 윤 대통령과 여야가 승복 메시지를 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오 시장은 "당연한 이야기"라며 "책임 있는 정치인이라면 헌재 결정에 승복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차기 대권 주자로서 당내 기반이 약하다는 평가에 대해서는 "만에 하나 탄핵이 현실화되고 대선 국면에 돌입하면, 결국 국민의 초점은 누가 야당의 이재명 후보를 이길 수 있느냐로 모아질 것"이라며 "자연스럽게 여론이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이 그 선택을 받을 수 있고, 끝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대선에서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오 시장은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 해제 이후 집값 상승세가 나타난 것과 관련한 부분도 언급했다.
오 시장은 "정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규제를 해제하기 직전 서울 부동산 시장이 하향 안정화 추세였고, 거래 건수도 대폭 감소하는 상황이었기에 적절한 시점이라 판단했지만, 시장에 예상보다 큰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와 지속해서 협의하며 부동산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히면서도,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3개월에서 6개월 정도 시장 상황을 지켜본 후 판단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