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전 국민의 힘 대표가 지난 1월 초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SCL)'에 포함한 것과 관련해 "제가 비상계엄을 신속히 막기 위해 앞장선 이유 중 하나도 이번 일처럼 대외인식이 하락하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15일 한 전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1월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했다. SCL에 오르면 미 에너지부(DOE)의 원자력, AI와 같은 첨단기술의 연구협력과 기술공유 등이 제한된다"며 "최하위 범주라곤 해도 우리에겐 타격이 있을 수 있다"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그러면서 "지난겨울은 우리 정국이 극도로 불안할 때였다. 제가 비상계엄을 신속히 막기 위해 앞장선 이유 중 하나도 이번 일처럼 대외인식이 하락하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하루빨리 정치가 안정돼야 하는 이유다"라고 밝혔다.
한 전 대표는 "우리 정부는 먼저 민감국가 지정 경위와 향후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을 상세히 파악해야 한다. 특히 4월 15일 효력 발생 이전에 미국과 집중 논의를 통해 민감국가에서 벗어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다행히 새로 출범한 트럼프 행정부와는 협상 카드가 많다. 최근 미 해군과의 유지·보수·정비(MRO) 계약처럼 한미 간 첨단과학기술 분야의 연구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에너지부(DOE)는 15일 '한국이 민감국가 리스트에 지정된 게 맞냐'는 국내기자단 질의에 "최하위 범쥐(기타 지정 국가)에 추가됐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