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학원 건물이 2006년생 소유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2일 매일경제는 한국 부자들의 자산 증식 및 투자 패턴과 관련해 보도하면서 대치동에 위치한 한 유명 학원 건물의 주인이 2006년생이라고 밝혔다.
매체는 대치동의 고가 아파트에 살고 있는 2006년생 A씨가 이 건물의 주인이며, 부모로 추정되는 50대 B씨와 지분을 절반씩 소유하고 있다고 했다.
A씨는 지난해 3월 72억 2000만원에 건물을 매입했다. 해당 건물은 유명 스타 강사들이 직접 강의에 나서는 곳으로 알려졌다.
미성년 임대인 지속적으로 증가해... 상속·증여세 피하고자 편법 쓰기도
지난 2023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이었던 양경숙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미성년자 임대인은 지난 2017년 2415명에서 2021년 3136명으로 5년 동안 약 30%(721명) 늘었다.
미성년 임대인의 대부분은 상가 임대인이었다. 2021년 상가 임대인 2820명의 평균 임대 소득은 연 1770만원, 주택 임대인 144명의 평균 임대 소득은 연 1528만원이었다.
이들이 벌어들인 소득을 모두 합치면 2017년 504억 1900만원, 2021년 548억 3000만원으로, 매년 500억원 규모다.
생계를 같이 하는 어린 자녀의 부동산은 사실상 부모의 부동산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탈세나 편법 증여 또는 편법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매체에 따르면 강남 건물주들 사이에서 높은 상속·증여세를 피하고자 법인을 통해 건물을 증여하는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꼬마빌딩, 오피스, 상가 등 비주택 부동산을 법인으로 등록하고 그 법인의 지분을 자녀가 취득해 합법적으로 대물림하는 방식이다.
매체는 등기부등본상 확인이 가능한 강남구 건물 실거래 228건 가운데 10건만이 증여·상속 거래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각각 만 21세, 만 18세인 형제는 지난해 7월 신사동 건물을 법인으로 넘겨받은 형태로 건물주가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