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두통, 구토 증상 등으로 뇌종양이 의심됐던 40대 환자의 뇌 기생충 감염을 규명하고, 살아있는 기생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
지난 30일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와 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외과 박혜란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기생충 감염 스파르가눔증으로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40대 여성 환자의 병변을 진단·치료해 학계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스파르가눔증'은 촌충의 일종인 스피로메트라라는 기생충의 알이 체내에서 유충으로 자라면서 발생한다.
이 유충을 스파르가눔 또는 고충이라고 부르는데, 혈류를 통해 몸 곳곳으로 이동하며 통증을 동반하는 염증반응을 일으키지만, 뇌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은 주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익히지 않은 야생 동물의 고기 또는 생선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기생충이 뇌로 이동할 경우 두통, 구토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시간이 흐르면서 발작, 시야 결손, 감각 이상 등 신경학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환자 A씨는 심한 두통과 구토 증세를 보여 서울대병원을 찾았다.
연구진은 A씨의 초기 뇌 자기공명영상(MRI)에서 좌측 후두엽 부분에 불규칙한 형태의 종양성 병변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병변의 상태로 보아 당시로서는 뇌종양이 의심돼 수술을 권유했지만, A씨는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자 치료를 거부하고 퇴원했다.
그러나 7개월 후 A씨는 다시 극심한 두통과 전신발작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후속 MRI 검사에서는 병변이 뇌의 좌측 후두엽에서 왼쪽 꼭대기 부근인 좌측 두정엽으로 이동한 것으로 관측됐다.
또한 A씨가 과거 오염된 연못물을 마시고 날생선과 익히지 않은 야생동물 고기를 섭취한 이력을 확인한 의료진은 기생충 감염을 염두에 두고 추가 검사를 시행했다.
개두술 통해 기생충 성공적으로 제거
의료진은 뇌척수액 검사 등 기생충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검사를 진행했고, 스파르가눔증 항체가 검출되면서 스파르가눔증 진단을 내렸다.
병변이 있는 지점의 조직을 생검한 결과에서는 외부 물질의 침입에 맞서 대식세포가 모여들어 덩어리지면서 생긴 염증성 육아종도 확인됐다.
의료진은 이후 환자의 머리뼈를 여는 개두술을 통해 뇌에서 살아있던 스파르가눔증 유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
백선하 교수는 "영상 검사에서 병변이 이동하는 경우 기생충 감염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며 "예방의 핵심은 오염된 물을 피하고 야생 동물의 고기나 생선을 충분히 익혀 먹는 등 개인위생 수칙을 지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혜란 교수도 "스파르가눔증 감염은 치료가 지연되면 기생충에 의한 신경 손상이 영구적으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전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저널인 '신경학(Neur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