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
달러·원 환율이 강달러 지속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15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8.4원 오른 1464.8원으로 마감했다. 이는 주간 거래 기준으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3월 13일(1483.5원) 이후 최고치다.
이날 환율은 1455.2원으로 시작했으나 오전부터 상승세로 전환돼 장중 1465.5원까지 오르며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장중 1450원을 넘긴 것은 5거래일 연속으로, 이는 2009년 이후 처음이다.
환율 상승의 배경에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기조와 국내 정치적 혼란이 자리하고 있다.
연준은 최근 금리를 내리면서도 내년 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매파적 메시지를 내놓아 달러 강세를 부추겼다. 이에 달러인덱스는 108대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며, 아시아 통화를 포함한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였다.
권한대행 탄핵소추안 발의에 亞통화 약세 겹쳐
여기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통과 이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탄핵소추안 발의가 이어지면서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26일 한 권한대행이 헌법재판관 임명을 여야 합의까지 보류하겠다고 발표했으나, 더불어민주당은 즉시 탄핵소추안을 발의하고 27일 표결에 나설 것을 예고하며 시장에 추가적인 부담을 주었다.
하나증권 전규연 연구원은 "연준의 금리 정책과 정치적 혼란으로 원화의 대내외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외국인의 국내 주식 및 채권 순매도와 맞물려 달러 유출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증권 전종규 연구원은 "원화 약세가 이어지며 위안·원 환율이 200원을 돌파했다"며, "내년 미국의 대중국 관세 강화 가능성에 따라 추가적인 원화 약세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강달러 흐름과 정치적 혼란이 지속되는 한, 달러·원 환율이 1450원대 후반에서 고점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