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한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LoL·롤) 공식 중계를 중단했다.
한국의 e스포츠 게임단이 타이완(대만)을 국가로 언급한 게 원인이다. 게임단은 곧바로 사과문을 올렸으나 입장을 선회하는 과정에서 중국과 중국 외 국가 이용자들 반감을 사게 됐다.
29일(현지 시간) 홍콩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18년부터 국내 e스포츠 리그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공식 중국어 중계를 독점해 온 중국 온라인 게임 플랫폼 후야가 올해부터 정규 리그의 중계를 돌연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일이 한국 e스포츠 게임단인 젠지e스포츠를 둘러싼 최근 논란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해 12월 젠지는 페이스북에 타이완을 국가로 언급하면서 중국 온라인에서 분노를 유발했다"며 "젠지가 사과한 후 정치적으로 중립을 유지하겠다며 다시 사과를 철회한 것이 중국과 한국 팬들 양쪽 모두에서 비판받으며 사태를 더욱 악화했다"고 덧붙였다.
매체는 "중국 LoL 리그 해설가 '957' 커창위도 최근 자신의 스트리밍 채널에서 LCK 중계 중단은 젠지와 관련된 최근 문제 탓"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다만 이에 대해 LoL 제작사 라이엇게임즈는 중국 내 LCK 방송권 보유자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해 12월 20일 젠지는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에 타이완을 국가로 언급하는 글을 게재했다.
젠지는 사과문을 통해 "젠지는 중국의 주권과 영토의 무결성을 단호하게 존중하고 지지합니다"라며 "깊이 사과의 말씀을 드리며 해당 내용은 확인된 즉시 모두 삭제했다"고 밝혔으나 정치적 중립을 유지하겠다며 사과를 철회하면서 중국, 한국 팬들 모두에게 비판받았다.
해당 논란 이후 1월 초에는 중국 리그오브레전드 리그 LPL이 주최하는 '데마시아 컵'에서 한국인 선수를 중계에 노출하지 않아 "e스포츠 한한령이 본격화되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매체는 "LCK를 비롯해 글로벌 e스포츠 업계가 수익성 문제에 빠졌는데, 중국의 LCK 중계 중단은 중계권료를 통한 수익성에 타격을 줄 것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