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교통 분야 출퇴근 시간 30분 시대를 위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노선 연장과 신설을 추진한다.
또한 지방에도 GTX와 같은 수준의 광역급행철도를 도입해 교통격차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메가시티 1시간 생활권 조성과 함께 김포골드라인의 혼잡 완화 대책도 시행할 예정이다.
25일 정부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격차 해소'를 개최했다.
이날 발표한 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은 △속도혁신 △주거환경 혁신 △공간혁신 등이다.
혁신을 통해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와 메가시티 1시간 생활권을 만든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 GTX 최초로 A노선의 수서∼동탄 구간을 예정대로 올해 3월에, 파주 운정∼서울역 구간을 연내에 개통한다.
또한 오는 2028년에는 A노선 전 구간을 완전 개통할 방침이다.
올초 착공하는 GTX B노선(인천대 입구∼마석)은 2030년에, C노선(덕정∼수원)은 2028년에 각각 개통해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가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
GTX-A·B·C 노선의 연장도 추진되는데, A노선은 동탄에서 평택까지, B노선은 경춘선을 활용해 마석에서 춘천까지, C노선은 덕정에서 동두천, 수원에서 아산까지 잇는다.
뿐만 아니라 수도권과 지방 간 교통 격차를 줄이고자 지방 대도시권에는 GTX와 같은 수준의 x-TX(광역급행철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러한 교통 혁신 패키지를 위해 134조원을 투입하고, 민간사업도 유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