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8세인 엄마에게 지급된 '지하철 경로우대카드'를 사용하던 20대 남성이 적발됐다.
그는 서울지하철 3호선 압구정역에서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까지 매일 반복적으로 부정 승차를 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남성은 결국 105만 4천원의 부가금을 내야 하는 신세에 놓이게 됐다.
지난 18일 서울교통공사가 매년 반복되는 지하철 부정 승차를 막기 위해 특별단속과 예방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부정 승차는 명백한 범죄행위라는 인식을 확산시킴으로써 이 같은 부정승차를 막을 계획이다.
지난해 기준 공사는 부정 승차 총 4만 9692건을 단속했다. 부가금으로 징수해낸 금액은 약 22억 5천만원이다.
부정 승차 유형으로는 우대용 교통카드 부정 사용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비율이 무려 83%(4만 1227건)였다. 우대용 교통카드는 경로·장애인·유공자 등에게 지급되는 지하철 무임 승차 카드다.
이어 초중고 학생 할인권 부정 사용(4766건·9.6%), 표 없이 탑승(3699건·7.4%) 순이었다.
부정 승차는 유동인구가 많은 곳일수록 많았다. 구로디지털단지역(2호선), 압구정역(3호선), 을지로입구역(2호선), 철산역(7호선), 남구로역(7호선), 사당역(2호선) 순으로 적발 건수가 많았다.
공사는 우대용 카드 부정승차 방지를 위해 대책을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우대용 카드를 태그 시 "행복하세요"라고 나오는 음성 멘트를 올해부터 지하철 전 역사로 확대할 계획이다. 부정 승차 부가금도 기존 30배에서 50배로의 상향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