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직접 '전쟁'을 언급했고,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자극적인 단어로 우리 정부를 공격하고 있다.
미국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허세가 아닐 가능성이 있다"라고 분석해 촉각이 곤두세워지고 있다.
지난 11일(현지 시간) 미국 미들베리국제연구소의 로버트 칼린 연구원과 지그프리드 해커 교수는 북한 전문매체 38노스 글을 기고했다.
해당 글은 한반도 정세에 관한 것이었는데, 이들은 "한반도 상황이 1950년 6월 초반 이후 그 어느 때보다 더 위험하다"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김정은이 1950년에 할아버지가 그랬듯이 전쟁하겠다는 전략적 결정을 했다고 생각한다"라며 "지금의 위험은 한미일이 늘 경고하는 '도발' 수준을 넘어섰다. 작년 초부터 북한 관영매체에 등장한 '전쟁 준비' 메시지가 '허세'(bluster)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에서 협상 결렬에 크게 실망한 김 위원장이 미국과 관계 정상화를 완전히 포기했다고 설명했다. 북미 관계 정상화는 3대 세습 과정에서 빼놓지 않고 목표로 설정했던 것이다.
하노이에서의 좌절이 김 위원장을 극대노하게 했고 전쟁을 결심하게 됐다는 게 이들의 분석이다.
또 북한이 중국, 러시아와 협력을 강화하는 부분도 주요하게 들여다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이 한반도 문제를 군사적으로 해결하려는 시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한미동맹이 북한 정권을 완전히 파괴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보내면서 '전쟁 억제'가 가능하다고 믿으면 안 된다고 경고했다.
북한이 계산에서 완전히 벗어난 모습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북한이 우리의 계산을 완전히 벗어나는 방식으로 움직이려고 계획할 수도 있다. 최악의 경우를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상황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