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시스 GV90, 롤스로이스급 '코치도어' 장착 가능성 높아져
제네시스의 플래그십 대형 전기 SUV로 출시 예정인 GV90이 프리미엄 브랜드의 상징인 '코치도어'를 적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코치도어는 냉장고처럼 양쪽으로 열리는 문 형태로, 롤스로이스와 같은 초고급 브랜드에서 주로 사용하는 도어 시스템입니다.
GV90 콘셉트카 '네오룬' / 현대자동차
최근 미국 전기차 전문 매체 일렉트렉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미국 특허청(USPTO)에 새로운 도어 래칭 장치에 관한 여러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일렉트렉은 이 특허에 대해 "B필러를 지지대로 사용하는 기존 문과 달리, 이 장치는 문에 직접 부착되어 힌지와 같은 움직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차량 도어 신칭 장치에 대해서도 "하나의 조임으로 여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 B필러가 없는 회전식 도어에 사용된다"고 전했습니다.
코치도어의 특징과 럭셔리 브랜드에서의 활용
코치도어는 마차에서 영감을 받은 문 형태로, 승하차 시 편의성과 개방감을 극대화하는 프리미엄 기술입니다.
미국 특허청(USPTO) 문서를 통해 공개된 GV90 관련 특허 / Electrek
냉장고처럼 양문형으로 열리기 때문에 승하차 시 문에 걸리는 불편함이 없고, 문이 열리는 각도 또한 탑승자의 신변 보호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 도어 시스템은 차량의 앞뒤를 연결하는 B필러 없이 제작되기 때문에,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차체 강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고도의 기술적 요구 때문에 주로 롤스로이스 팬텀, 컬리넌과 같은 최고급 모델에 적용되어 왔습니다.
코치도어의 가장 큰 장점은 실내 공간의 개방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뒷좌석 탑승객에게 더욱 럭셔리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 플래그십 모델에 적합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이전에도 아이오닉9의 콘셉트카 '세븐'에서 코치도어를 선보인 바 있지만, 양산 모델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유럽에서 포착된 GV90 테스트카 / Autoblog
그러나 이번에는 제네시스가 미국 특허청에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코치도어를 장착한 듯한 위장막을 쓴 GV90 스파이샷이 공개되면서 실제 양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콘셉트카 '네오룬'을 통해 본 GV90의 미래
제네시스 GV90은 콘셉트카 '네오룬'의 양산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네오룬에도 B필러리스 코치도어가 적용되어 있어, GV90의 디자인 방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네오룬은 코치도어 외에도 차량 문이 열릴 때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전동식 사이드 스텝, 이음새를 최소화한 차체와 일체화된 전·후면 램프, 상단에 적용된 타입 루프랙 등 독특한 외관을 선보였습니다.
또 네오룬의 1열 시트는 회전 기능을 갖추어 정차 시 탑승객이 공간의 실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도어 트림, 바닥, 스트백, 콘솔 사이드에는 복사난방 필름을 부착해 저전력 고효율 난방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GV90 콘셉트카 '네오룬' / 현대자동차
차량 전면에는 크리스탈 스피어 스피커를 배치해 미사용 시 실내 크리스탈 오브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업계에서는 GV90이 전기차로 먼저 출시된 후, 주행거리 연장 전기차(EREV)로도 추후 출시될 가능성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EREV는 내연기관 엔진을 차량 구동이 아닌 배터리 발전기로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1회 충전 시 최대 1200km까지 주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