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미국 첫 '기후세' 도입"...호텔 숙박세만 11%
세계적인 휴양지 하와이가 미국 주 정부 중 처음으로 '기후세'를 신설한다.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 보호 재원 마련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여행객들의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2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하와이주 의회는 자연재해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해 숙박세에 0.75%의 추가 세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미 하와이주 조시 그린 주지사는 해당 법안에 서명할 의사를 밝혔으며, 최종 통과는 기정사실로 보인다.
gettyimagesBank
하와이, 숙박 요금에 '기후세' 신설...적용 시기는?
법안이 시행되면 2026년 1월 1일부터 호텔과 단기 임대 숙박시설에 부과되던 기존 10.25%의 세금에 더해 0.75%가 추가된다. 즉, 주 정부 차원의 숙박세는 11%로 인상되는 셈이다.
여기에 각 카운티별로 부과하는 3%의 숙박세, 그리고 상품 및 서비스 전반에 적용되는 4.712%의 소비세까지 더하면, 여행객들이 실제 결제 시 부담하는 세금은 총 18.712%에 달한다.
하와이 주 정부는 이 같은 기후세 도입으로 매년 약 1억 달러(약 1,403억 원)의 세수가 확보될 것으로 보고 있다.
확보된 재원은 와이키키 해변의 침식 모래 복구, 허리케인 대비 지붕 고정 장비 설치, 산불 예방을 위한 가연성 식물 제거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Pixabay
수입으로 해변 보강·산불 예방...누리꾼 반응은 '싸늘'
그린 주지사는 "미국 주 정부로서는 처음으로 환경 보호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별도 세금을 신설한 것"이라며 "하와이에 장기 체류하는 '충성도 높은 여행객'을 늘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작 여행객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해외 누리꾼들은 "하와이 정말 좋아했지만, 차라리 훨씬 저렴한 그리스 섬으로 가겠다", "이미 호텔비가 비싼데 세금까지 이렇게 올리냐", "하와이 여행은 이제 끝"이라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지금도 고가로 평가받는 하와이 숙박비에 더해 '환경 기여금' 명목의 과세가 추가되면서, 하와이 관광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