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05일(월)

"최태원, 보법이 다르네"... KBS 다큐 방송 뒤 화제된 'K-메가샌드박스' 정체

길을 헤메는 한국 경제... 최태원, 고민 끝에 답했다 


대한민국 경제가 길을 헤매고 있다. 저출생·고령화, 글로벌 공급망 위기, 인재 유출 거기에 각종 규제까지. 


구조적 한계에 갇힌 한국 산업은 이제 작은 변화로는 살아남기 어려운 상태가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속에서 해답을 찾기 위해,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오래도록 고민했다. 


인사이트사진=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수십 년 기업을 키우며 겪어온 성공과 실패, 전 세계를 돌아보며 체감한 변화의 속도. 그는 결국 결론 내렸다.


"한국 산업, 지금 필요한 건 조각 수술이 아니라 전면 개조다. 한 방에 묶어 풀어내는 '턴키(turn-key) 혁신'만이 해법이다"


"한국 산업 혁신, 턴키 방식 아니면 답 없다"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한국 경제의 체질 개선을 위해 '턴키(turn-key) 혁신'을 제안하고 나섰다. 실리콘밸리와 어깨를 나란히 할 'K-메가샌드박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단편적인 해법이 아닌 전면적 혁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지난 12일 방영된 KBS1TV 다큐멘터리 '미래 사회로 가는 길, 메가 샌드박스'에 출연한 최 회장은 "AI가 모든 산업을 바꾸는 시점에 한국 역시 경제 시스템과 비즈니스 모델을 동시에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인사이트KBS1


그는 지난해 12월 전국상공회의소 회장 회의에서도 "저출생·고령화, 글로벌 공급망 변화 등 복합위기 속에서 개별 문제를 하나씩 푸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홀리스틱(holistic·전면적) 해법'의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취업 보장형 교육·AI 인프라·네거티브 규제...'4대 턴키 전략'


최 회장이 제안한 '턴키 혁신'의 핵심은 네 가지다. 취업 보장형 교육, AI 인프라 구축, 네거티브 규제 전환, 파격적인 인센티브가 그것이다.


그는 "지역 대학 교육 단계부터 학생과 직업을 매칭시켜야 한다"며 "지역 내 취업을 보장해주고, 그에 맞춘 문화·생활 인프라도 함께 마련해야 청년들이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도 커리어를 설계할 수 있다"고 말했다.


AI 인프라 구축도 필수 조건으로 꼽았다. 최 회장은 "AI는 앞으로 모든 산업의 핵심 보조 수단이 될 것"이라며 "지역 내 제조 산업, 데이터 수집, 연구 개발 등 모든 영역에 AI 인프라가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사이트KBS1


"한국형 규제 방식, 네거티브로 전환해야"


최 회장은 무엇보다 "네거티브 규제 전환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기업이 '이런 걸 해도 되냐'고 묻기보다, 정부가 '뭐든지 해보라'고 열어줘야 산업 경쟁력이 생긴다"며 "사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건 다 지원해주는 열린 마음과 열린 규제가 절실하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지방정부가 주도적으로 파격적 인센티브를 설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기업들이 글로벌 수요를 끌어올 수 있을 정도로 매력적인 혜택을 제공한다면, 메가샌드박스 모델은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곳곳에 지정된 수많은 특구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 현실 속에서 최 회장의 'K-메가샌드박스' 구상은 기존 산업 정책에 새로운 화두를 던지고 있다. 혁신을 위한 실험과 모험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 조건으로 떠오른 시대, 한국 경제의 다음 좌표가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