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고명훈 기자 = 중·장년층에게나 나타나는 질환으로 생각하기 쉬웠던 탈모.
최근 20대와 30대 연령층에서도 탈모 인구가 급증하면서 젊은이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거울을 봤을 때 조금만 숱이 비어 보여도 '혹시 나도 탈모가 아닐까' 걱정되는 마음에 탈모에 좋다는 음식도 먹어보고 탈모 방지 샴푸도 구매해서 써보는 20대들 많을 거다.
내 머리가 정말 탈모가 진행 중인지 판별할 방법이 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숱이 아니라 바로 머리카락의 두께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의료 전문가에 따르면 앞머리와 정수리 부위 모발이 힘이 없고 가늘어지기 시작할 때 탈모가 진행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점점 가늘어지는 머리카락은 색이 옅어지면서 짧은 솜털처럼 변하는데 이 증상이 계속되면서 결국 머리카락이 빠지게 된다.
영국피부과저널에서 탈모 증상이 없는 사람과 탈모 환자를 비교한 결과 모발 수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지만 굵은 모발의 비율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났다.
머리숱이 많다고 무조건 안심할 수는 없다는 거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에 전문가들은 모발이 가늘어지기 시작했다면 즉시 병원에서 상담을 받고 치료받기를 권고하고 있다.
특히 남성형 탈모는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계속해서 상태가 악화하는 진행성 질환이기 때문이다.
지금 내 머리카락 굵기를 확인해보고 혹시 다가올 탈모를 미리 예방하는 게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