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다시 한 번 '위기 속 성장'을 입증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 미·중 갈등, 반도체 업황 침체 등 악재가 겹친 상황에서도 SK는 AI 반도체, 에너지 솔루션, 첨단소재 분야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며 산업 전반의 체질을 바꾸고 있습니다. 위기를 기회로 삼는 특유의 경영감각과 빠른 판단력은 한국 기업 가운데서도 독보적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런 그가 이번에는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공식'을 직접 제시하며, 기업인의 시각으로 국가 전략의 방향을 짚었습니다.
지난 26일 최 회장은 유튜브 삼프로TV·언더스탠딩·압권 3개 채널과의 연합 인터뷰에서 APEC CEO 서밋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 시진핑 주석을 비롯한 주요국 정상이 모이는 자리인 만큼 향후 미·중 관계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APEC CEO 서밋은 1,700여 명이 참여하는 글로벌 경제의 장으로, 보호무역주의 시대의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라고 강조했습니다.
최 회장은 이번 서밋에서 대한상의 회장 자격으로 의장을 맡아 한국 기업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알릴 예정입니다.
그는 인터뷰에서 한국 경제의 기존 성장공식을 뛰어넘기 위한 다섯 가지 제언을 내놨습니다.
첫째는 '한일 경제연대'입니다. 그는 "일본과 협력하면 6조 달러 규모의 공동시장을 만들 수 있다"며 "세계 4위 수준의 경제 블록을 형성해 보호무역주의의 파고를 넘어설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둘째는 '성장지향형 규제 전환'으로, "성장하는 기업이 더 커질 수 있도록 제도적 장벽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셋째는 AI 분야의 선제적 투자입니다. 최 회장은 "미국과 중국은 AI 패권을 놓고 군비 경쟁처럼 투자 전쟁을 이어갈 것"이라며 "뒤처지면 돌이킬 수 없는 리스크가 된다"고 경고했습니다.
넷째는 해외 인재 유입과 '메가샌드박스' 도입을 통해 새로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는 제안이었습니다. 그는 "지역 단위의 AI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해외 인재가 국내에서 일정 기간 자유롭게 일할 수 있는 '그린카드 제도' 같은 실험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제조업 중심의 한국 산업 구조에서 벗어나 '소프트머니' 산업을 키워야 한다는 강조가 있었습니다. "한식, 콘텐츠, 디자인 같은 분야는 한국의 창의력이 가장 빛날 수 있는 영역"이라며 "수출 중심의 하드 파워에서 부가가치 중심의 소프트 파워로 전환해야 한다"고 최 회장은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이외에 '성장할' 기업만이 아닌 '성장한' 기업을 지원하는 규제 재설계도 필요성도 역설했습니다.
기업 규모가 작으면 지원하고 크면 규제하는 것은 '구식'이라고 설명하면서 '결과를 가져온' 기업에 대한 따뜻한 손길도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결과를 가져온 기업을 지원해야 아직 결과를 가져오지 못한 기업이 '성장의 동기'를 얻게될 거라는 논리였습니다.
인공지능(AI)에 대해서는 "과거 러시아(소련)와 미국이 군비경쟁을 했듯 AI도 미국과 중국의 헤게모니 싸움이 돼 양국 모두 AI에 대한 투자를 줄이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도 즉각적이면서도 꾸준히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한국은 미국과 중국에 이어 TOP3 AI 강국으로 인정받는 상황이지만, 아직 갈길이 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최 회장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는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최 회장은 인터뷰 말미에서 故 최종현 선대회장도 언급했습니다.
그는 "선대회장께서 늘 '국가 경제에 기여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며 "기업은 단순히 경쟁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공동체와 함께 성장해야 한다고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SK그룹은 실제로 AI 반도체와 배터리, 그린에너지 등 신성장축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재도약 중입니다. 불확실성이 짙은 세계 경제 속에서도 확실한 방향을 제시하는 그의 분석은, SK그룹의 미래와 마찬가지로 한층 더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