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N수생' 5명 중 1명이 월평균 가구소득 800만 원 이상의 고소득층 가정 출신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 23일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23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N수생 사교육비 조사 모델 개발 용역' 결과보고서 분석 결과, 조사 대상 'N수생' 중 월평균 가구소득 800만 원 이상 구간이 23.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반면 500~600만 원 미만 구간은 8.6%에 그쳤습니다.
이번 조사는 17개 일반대학의 2024학년도 신입생 1,85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습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명목 월평균 임금이 364만 원 수준임을 고려할 때 N수를 선택한 학생들의 가정형편이 평균보다 상당히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사교육비 부담 주체에 대한 조사에서도 경제력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보호자가 사교육비의 90% 이상을 부담했다'는 응답이 74.6%에 달했으며, '본인이 10% 미만을 부담했다'는 응답도 78.5%로 집계됐습니다.
결과적으로 부모의 경제력이 'N수'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셈인데요.
김문수 의원은 "N수생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지만 그 현황이나 사교육 등 실태 파악은 사실상 부재하다"며 "N수생 사교육비의 유형 및 규모, 정부 교육정책의 영향력, N수생 증가를 어떻게 봐야 할지 등을 살펴보기 위해 꾸준히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