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이 22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관세 후속 협상의 핵심 쟁점을 놓고 막바지 교섭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협상에서는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투자 집행 방식이 주요 논의 사안으로 다뤄졌습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미 상무부 청사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약 2시간 동안 협상을 진행했습니다.
뉴스1 등에 따르면, 협상 후 김 정책실장은 기자들과 만나 "일부 진전이 있었다"면서도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 정책실장은 "쟁점이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한두 개라고 말한 것은 쟁점이 많지 않다는 의미"라면서 "오늘도 남아 있는 쟁점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많이 만나면 조금 더 상호 입장을 이해하게 되는 것"이라며 "그래서 진전이 있었고 논의를 더 해야 한다"고 부연했습니다.
추가 협상 일정과 관련해서는 물리적 제약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 실장은 "만나기는 어려울 것 같고, 필요하면 화상으로 해야 할 것 같다"면서 "이쪽(미국 측)도 일본에도 가고, 일찍 떠나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미 행정부 주요 인사들이 이달 말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참석에 앞서 말레이시아, 일본 등을 찾기 위해 이번 주 후반 아시아 순방길에 오르기 때문입니다.
협상의 진행 상황에 대해 김 실장은 "협상이라는 것이 늘 그렇지만,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APEC 이전 타결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우리에게는 어떤 중요한 계기"라고 답했습니다.
3500억 달러 규모 대미투자의 구체적인 집행 방식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습니다.
김 실장은 "개별 주제에 대해, 아이템에 대해서 저희가 어떤 말도 한 적이 없다"면서 "그런 것들은 우리 내부에서 실무적으로 이야기한 게 나간 이야기들"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실장은 협상의 기본 원칙에 대해 "관세 협상도 중요하고 한미 간에 서로 투자도 중요하지만, 대전제는 우리 대한민국 경제에 충격이 있어서는 안 되지 않느냐"면서 "그래야 합의가 되고 그다음에 이행도 되고 하는 것이다"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방미는 김용범 실장에게는 사흘만에, 김정관 장관에게는 이틀 만에 재차 미국을 찾은 것입니다.
두 사람은 지난 16일에도 워싱턴DC에서 러트닉 장관과 만나 관세 후속 협상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김 실장은 이번 방미 일정과 관련해 "러트닉 장관과 만난 후 곧바로 애틀랜타로 이동해 바로 귀국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