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닝 인구 1천만 시대를 앞두고 서울시가 지하철 역사 내에 탈의실·물품 보관·파우더룸 등을 갖춘 '러너지원공간'을 마련합니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광화문역(5호선), 회현역(4호선), 월드컵경기장역(6호선)에 러닝 편의 및 여가문화 공간 '러너지원공간(Runner's Base)'을 조성했다고 밝혔습니다. 이곳에서는 러닝 지원시설과 함께 모닝 러닝, 장거리 러닝 등 맞춤형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지하철 역사 혁신 프로젝트 '펀 스테이션'의 일환인 '러너지원공간'은 빈 역사 공간을 활용해 운동과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여의나루역(5호선) '러너스테이션', 뚝섬역(2호선) '핏스테이션', 먹골역(7호선) '스마트무브스테이션' 등이 높은 인기 속에 운영 중입니다.
'러너지원공간'은 러너 접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지하철 역사 내에 조성됐으며, 남녀 분리 사용 공간에 탈의실·보관함·파우더룸 등 운동 전후 필요한 시설을 갖췄습니다. 네이버 QR 또는 카카오톡 인증으로 출입할 수 있고 별도 이용 요금은 없습니다.
개인 물품보관함은 서울교통공사 '또타라커' 시스템과 연계돼 앱으로 손쉽게 잠금·해제가 가능합니다. 각 공간은 시민이 개인 수준과 일상에 맞춰 참여할 수 있는 맞춤형 러닝 프로그램을 주 1~2회 운영합니다.
광화문역(5호선)은 직장인을 위한 '모닝 러닝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출근 전 짧은 러닝과 올바른 자세·보강 운동을 통해 하루를 시작할 수 있도록 구성합니다. 주말 등에는 인왕산·북악산 트레일 러닝 프로그램도 마련할 예정입니다.
남산 오르는 길목의 회현역(4호선)은 입문자가 러닝에 흥미를 느끼고 운동 습관을 형성하도록 돕습니다. 남산을 배경으로 걷기·가벼운 달리기 등 기초 체력 강화부터 시작해 점차 거리를 늘리는 단계적 프로그램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월드컵경기장역(6호선)은 상암 월드컵공원을 중심으로 부상 없는 달리기를 위한 기초 러닝 스쿨과 경험자를 위한 장거리(15km 이상) 러닝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합니다. 슬로우 러닝, 패밀리 러닝 등 가족 단위 참여 프로그램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또한 정규 프로그램 외에도 분기별로 계절·테마·의미를 담은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겨울에는 러닝 부상 예방과 회복 중심의 실내 프로그램 위주로 시민 참여를 이어갑니다.
러너지원공간의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이용·참여 가능하며, 런베이스 홈페이지를 통해 회차별 15~20명 내외 선착순 모집합니다. 전 과정은 전문 코치와 페이서의 지도 아래 러닝 준비부터 정리운동까지 안전하게 진행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