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일부 프랜차이즈 치킨 업체들의 '꼼수 가격 인상'에 직접 제동을 걸었습니다.
지난 16일 안귀령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일부 치킨업체의 가격 인상 문제를 지적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최근 몇몇 프랜차이즈가 가격을 동결한 척하면서도 음식의 중량을 줄이거나 저렴한 부위를 사용해 원가를 낮추는 이른바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행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강 비서실장은 "치킨은 빵·라면과 달리 중량 표시 의무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꼼수 인상이 가능하다"며 "음식의 맛과 서비스를 개선하지 않은 채 가격을 올리는 것은 소비자 기만"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공정위, 식약처, 농림부 등 관계 부처가 협의해 슈링크플레이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 같은 지적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불거진 '교촌치킨 논란'과 맞닿아 있습니다.
지난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교촌에프엔비 송종화 대표를 상대로 "교촌치킨이 기존 700g이던 순살치킨 중량을 500g으로 줄이고, 닭가슴살을 섞어 사용했지만 가격은 그대로였다"며 "이는 전형적인 슈링크플레이션"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는 "소비자에게 이를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며 "지금이라도 홈페이지뿐 아니라 배달앱과 오프라인 매장에도 명확히 공지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송 대표는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습니다.
같은 자리에서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교촌 본사의 원재료 수급 불안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그는 "주력 메뉴 '윙 콤보'의 원재료 공급률이 2019년 52%에서 최근 26~39% 수준으로 더 떨어졌다"며 "6년째 수급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또한 박 의원은 "공정위에 불공정 행위를 신고한 가맹점주에게 본사가 두 달 만에 계약 갱신 거절을 통보했다"며 "이는 명백한 보복 조치"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송 대표는 "가맹점을 본사보다 우선으로 생각하겠다"며 "생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습니다.
공정위의 소극적인 조사 태도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박 의원은 "교촌 본사가 계약 거절 취소 내용증명을 보냈다는 이유만으로 무혐의 결론을 낸 것은 거래상 지위를 이용한 불공정행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결과"라며 재조사를 촉구했습니다.
이헌승 의원은 "치킨은 대표적인 외식 메뉴로 소비자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공정위가 식약처 등 유관기관과 협의해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송종화 대표는 "부분육 중심의 산업 구조상 수급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며 "대처가 미흡했던 점은 인정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현재 다각도로 해결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대통령실이 직접 나선 만큼, 정부의 '먹거리 물가 안정' 대책이 본격화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