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폭음, 연부조직 육종 발생 위험 크게 높인다
여성이 과도한 음주를 할 경우 연부조직 육종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정형외과 주민욱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한 대규모 연구를 통해 여성의 음주량과 연부조직 육종 발생 사이에 뚜렷한 연관성이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연부조직 육종은 피부, 지방, 근육 등 비상피성 결합조직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주로 팔다리에 발생하며 때로는 복부에서도 나타납니다. 이 질환은 뼈나 연골이 아닌 조직에서 발생하는 암의 일종으로, 육종은 크게 악성 골육종과 연부조직 육종으로 구분됩니다.
연구팀은 2009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성인 남녀 393만7745명을 2020년 12월까지 장기간 추적 관찰하며 음주 습관과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하루 평균 네 잔 미만(에탄올 30g 미만)의 술을 마시는 여성은 비음주 여성에 비해 연부조직 육종 발생 위험이 1.51배 높았고, 하루 네 잔 이상(에탄올 30g 이상) 마시는 여성은 무려 2.48배 높은 발생률을 보였습니다.
1회 음주량에 따른 육종 발생 위험 분석 결과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1회 음주량과 육종 발생 위험 간의 상관관계입니다. 한 번에 서너 잔의 술을 마시는 여성은 비음주 여성보다 연부조직 육종 발생 위험이 1.35배 높았으며, 5~7잔을 마시는 경우에는 1.73배 높았습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한 번에 14잔 이상 폭음하는 여성의 경우 육종 발생 위험이 무려 3.7배나 증가한다는 사실입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연관성은 남성에게서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이러한 성별 차이가 남녀 간 해부생리학적 특성으로 인한 대사적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그러나 연구팀은 "남성의 음주량과 연부조직 육종 간 연관성이 미미하다고 해서 음주의 위험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음주와 육종 발생의 관련성은 여성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음주의 해로운 영향에 취약한 모든 인구 집단이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주민욱 교수는 "음주가 여러 질병의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었지만 연부조직 육종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한 근거는 부족했다"며, "이번 연구는 그 연관성을 밝히고 음주의 위해에 대한 인식 제고와 이에 대한 정책적 개입 및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화두를 던졌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권위 있는 학술지인 '임상 정형외과 및 관련 연구(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에 최근 게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