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 건강 주의보, 대상포진과 폐렴 예방법
환절기에 접어들면서 일교차가 커지고 면역력이 저하되어 각종 질환에 노출되기 쉬운 시기가 왔습니다.
대상포진과 폐렴은 초기에 감기와 증상이 유사해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쉬운 질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백신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요. 고령층에서는 이러한 질환이 중증으로 발전하거나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상포진은 과거 수두를 앓은 후 신경절에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 정보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대상포진 환자의 67%가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초기에는 발열과 근육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마, 목, 등에 띠 모양의 발진과 물집이 생기며 통증이 동반됩니다.
대상포진은 발병 초기에 치료해야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특히 60대 이상이나 만성질환자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수년간 지속되거나 평생 이어질 수 있어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폐렴, 고령층에게 치명적인 질환
폐렴 역시 고령층에게 특히 위험한 질환입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폐렴 사망자의 90%가 65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폐렴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폐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기침, 고열,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과 함께 두통, 오심, 구토, 근육통 등 전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폐렴은 초기에 감기와 증상이 유사해 중증으로 진행된 후에야 뒤늦게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령자의 경우 감기나 독감의 합병증으로도 폐렴이 발생할 수 있어, 기침이나 발열 등 가벼운 증상이라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문가들은 대상포진과 폐렴 모두 백신접종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대상포진 백신은 생애 한 번 접종하며, 1회 접종하는 생백신과 2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는 사백신(유전자재조합)이 있습니다. 이는 주로 50세 이상 성인에게 권장됩니다.
폐렴구균 백신의 경우, 만성질환자는 최대 84%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특히 폐렴 감염 시 치명적일 수 있는 65세 이상 노인,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 등에게 적극 권장되고 있습니다.
박정하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예방접종으로 대상포진 발생률을 절반가량 줄일 수 있고, 포진 후 신경통 발생 확률과 중증도를 낮출 수 있다"라며 "나이가 많을수록 백신의 항체 형성률과 효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권장 나이라면 접종을 미루지 말고 바로 접종해야 한다"라고 조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