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1조 4천억원 규모 구조조정 단행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선사하던 글로벌 커피 체인 스타벅스가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습니다.
스타벅스는 25일(현지시간) 10억 달러(약 1조 4천억원) 규모의 대대적인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이는 최근 지속되는 실적 부진을 타개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이번 구조조정의 핵심은 북미 지역 일부 매장 폐쇄와 약 900명의 비매장 직원 해고입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스타벅스가 올해 초에도 이미 1,100명을 감원한 바 있어, 경영 위기의 심각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구조조정 비용 10억 달러 중 약 90%가 북미 사업에서 발생할 예정이며, 직원 해고에 약 1억 5천만 달러, 매장 폐쇄 관련 비용으로 약 8억 5천만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북미 시장 부진, 스타벅스의 아킬레스건
스타벅스의 이번 결정은 최대 시장인 북미에서의 지속적인 매출 부진이 주된 원인입니다. 지난 분기(4~6월) 스타벅스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무려 47%나 감소했으며, 매출은 4%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특히 우려되는 점은 전체 매출의 약 70%를 차지하는 북미 지역의 동일 매장 매출이 2% 감소하며 6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에 스타벅스는 올해 말까지 북미에서 약 1만 8,300개 매장만 운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다만 내년부터는 다시 매장 수 확대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혀, 이번 구조조정이 일시적인 축소 전략임을 시사했습니다.
경영진 교체와 근무 환경 변화
브라이언 니콜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조치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을 강화하고, 자원을 그곳에 집중하기 위한 것"이라고 직원들에게 설명했습니다.
또한 니콜 CEO는 내달부터 본사 직원의 주 4일 사무실 근무 복귀를 지시하는 한편, 최고재무책임자(CFO)와 최고운영책임자(COO), 글로벌 최고 브랜드 책임자 등 주요 경영진을 교체하는 강도 높은 쇄신 작업에 나섰습니다.
이러한 스타벅스의 대대적인 구조조정 소식에도 불구하고, 뉴욕 증시에서 스타벅스 주가는 발표 당일 전날보다 0.88% 하락 마감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스타벅스의 회복에 대해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커피 산업의 변화와 스타벅스의 도전
스타벅스의 이번 구조조정은 단순한 비용 절감을 넘어 변화하는 커피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의 커피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경쟁 브랜드들의 성장, 그리고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소비 위축 등 다양한 도전에 직면한 스타벅스가 어떻게 글로벌 커피 시장의 리더십을 유지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