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 시장, LG전자와 SK이노베이션의 전략적 협력
LG전자와 SK이노베이션이 에너지 솔루션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관계를 구축했습니다.
18일 양사는 서울 종로구 서린빌딩에서 'AI 데이터센터 에너지·냉각 통합 솔루션 공동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지난 17일 체결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협약은 SK이노베이션과 LG전자가 에너지 관련 분야에서 맺은 첫 MOU로,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의 전력 및 냉각 통합 최적화를 위한 공동 사업을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양사는 같은 인프라에서 더 높은 성능과 효율을 끌어내는 운영 최적화 기술이 AI 데이터센터 시장의 판도를 바꿀 핵심 요소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번 협력을 통해 국내외 데이터센터에 통합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데이터센터 분야의 기술협력과 공동 연구개발(R&D)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기업 간 시너지로 완성되는 통합 솔루션
이번 협약에 따라 LG전자는 AI 데이터센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솔루션 기술을 담당합니다.
구체적으로 칠러와 팬 월 유닛 등의 공기 냉각 솔루션과 냉각수 분배 장치인 액체 냉각 솔루션을 공급하여 기술 실증 및 고도화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LG전자의 CDU(Coolant Distribution Unit, 냉각수 분배 장치)는 데이터센터 내 CPU·GPU 칩의 열을 직접 냉각시키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반면 SK이노베이션은 전력 공급 및 운영 최적화 분야를 맡게 됩니다. AI 기반 데이터센터 에너지 관리 시스템(DCMS), 보조전원(ESS 및 연료전지) 설계, 전력 피크 저감 솔루션 등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양사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AI 기반의 실시간 에너지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냉각 시스템을 제어하는 차세대 솔루션도 공동개발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통해 LG전자는 SK이노베이션의 전원·운영 솔루션을 활용해 전력 공급 안정성 및 전력 효율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고, SK이노베이션은 데이터센터 냉각 기술 포트폴리오에 LG전자의 솔루션을 추가로 확보하게 됩니다.
급성장하는 데이터센터 시장과 미래 전망
글로벌 컨설팅기업 맥킨지에 따르면, 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수요는 2030년까지 연평균 22% 증가해 현재의 3배인 171GW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수요 급증에 따라 전력 소비도 크게 늘어날 전망인데,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전 세계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가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건설 및 서버 장비 구매 등 초기 자본지출보다 운영비용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 경쟁력이 되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의 열을 관리하는 냉각시장은 2030년까지 172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어, 양사의 협력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됩니다.
김무환 SK이노베이션 에너지설루션 사업단장은 "이번 협약으로 양사의 최적화된 기술력을 통합해 고객에게 검증된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턴키(일괄생산)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 역시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뿐만 아니라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통합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양사의 기술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