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크 총격범 체포에 결정적 역할한 부친, 현상금 수령 논란
미국 유타주 검찰이 지난 10일(현지 시간) 찰리 커크 터닝포인트 USA 대표를 총으로 쏴 숨지게 한 용의자 타일러 로빈슨(22)을 가중 살인 및 총기 발사 중범죄 등의 혐의로 16일 정식 기소했습니다.
이 사건은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특히 용의자 체포 과정에서 부친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로빈슨은 FBI의 수배가 시작된 지 불과 33시간 만에 체포되었는데요. 이 신속한 체포의 배경에는 그의 부친이 있었습니다. 27년간 법 집행 기관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로빈슨의 부친은 당국이 공개한 용의자 사진에서 자신의 아들을 알아보고, 아들에게 자수를 권유했습니다. 또한 지인 목사에게 설득을 부탁하며 체포 작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스펜서 콕스 유타 주지사는 "로빈슨 가족이 지인에게 자수 의사를 전했고 이 지인이 당국에 연락해 신고했다"며 가족의 올바른 선택에 감사의 뜻을 표했습니다.
가족들은 범행 동기와 관련해서도 수사 당국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했는데요, 콕스 주지사에 따르면 "로빈슨의 가족들은 그가 최근 몇 년간 정치적으로 변했다고 증언했다"고 합니다.
100만 달러 넘은 현상금, 누가 받아야 하나
이 사건에서 또 다른 주목할 점은 용의자 체포를 위해 걸린 현상금입니다.
당초 FBI는 10만 달러의 현상금을 걸었지만, 보수 진영 인사들이 추가 금액을 내놓으면서 그 규모가 115만 달러(한화 약 15억 8,000만 원)까지 크게 늘어났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청소년 홍보·커뮤니케이션을 자문했던 알렉스 브루스위츠와 보수 성향 활동가인 로비 스타벅은 각각 2만 5,000달러를 기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에 트럼프를 지지했던 월스트리트의 헤지펀드 거물 빌 애크먼이 100만 달러를 내기로 하면서 현상금 규모가 대폭 증가했습니다.
로빈슨이 체포된 직후, 소셜미디어에서는 '로빈슨의 부친이 금전적인 보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가'를 놓고 격론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부친이 커크 유족에게 현상금을 기부하기로 했다"는 가짜 뉴스까지 빠르게 퍼져 미국 언론들이 이를 바로잡는 상황까지 이르렀습니다.
현상금 지급 절차와 관련자들의 입장
범죄·테러 제보자에 대한 현상금 지급은 통상 미 국무부 산하 '정의에 대한 보상' 프로그램에서 관리합니다.
현상금을 실제로 수령하기까지는 복잡한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요, 각 기관 담당자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현상금 지급의 타당성을 논의한 후 국무장관에게 최종 권고하는 구조입니다.
뉴욕포스트는 "위원회 권고안은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전적인 재량권을 행사할 수 있다"며 "승인을 해도 현상금 금액을 변경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현상금 기부를 약속한 인사들의 입장도 엇갈립니다.
로비 스타벅은 "로빈슨 부친이 현상금을 받게 되면 반드시 터닝포인트 USA에 기부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빌 애크먼은 "FBI가 정보를 제공했다고 지목하는 사람에게 현상금을 지급할 것"이라면서도 "(로빈슨의 부친이) 커크의 죽음에 관여했다면 현상금은 민·형사 소송을 통해 되돌려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