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북한 군사협력 심화, 핵잠수함 기술 이전 첩보 포착
우리 군이 러시아가 북한에 핵추진잠수함용 원자로를 제공했다는 첩보를 포착한 것으로 17일 확인됐습니다.
현재 정보 당국과 군 당국은 이 첩보의 진위 여부를 면밀히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앙일보 등 일부 매체는 정부 소식통을 빌려 올해 상반기 러시아가 북한에 2~3개의 핵잠수함 모듈을 제공했다는 첩보가 입수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핵잠수함 모듈은 소형모듈원자로(SMR) 등을 활용한 원자로 추진 시스템으로, 핵잠수함 추진 기관의 핵심 부품에 해당합니다.
핵추진잠수함은 일반 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재래식 잠수함과 달리 핵연료로 작동하며, 핵탄두가 장착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잠항 시간이 길어 정밀 탐지가 어렵다는 특성 때문에 해양 전력에서 전황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무기를 평가받고 있습니다.
북한의 핵잠수함 개발 의지와 러시아의 기술 지원
북한은 2021년 1월 제8차 노동당 대회에서 '국방력 발전을 위한 5개년 계획 및 5대 과업'의 주요 과제 중 하나로 핵잠수함 보유를 명시했습니다.
북한의 핵잠수함 개발 목표는 미국 본토에 최대한 가깝게 접근하여 핵미사일 타격이 가능한 전력을 구축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지난 3월에는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전략핵잠수함(SSBN)으로 추정되는 '핵동력 전략유도탄잠수함' 건조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주요 조선소를 방문한 사실이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만약 이번 첩보가 사실로 확인된다면, 북한의 핵잠수함 개발 속도는 획기적으로 빨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받은 완성형 모듈을 역설계하여 빠르게 추진체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 북한은 자체 기술만으로는 핵잠수함 추진체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북한에 제공한 모듈이 퇴역한 핵잠수함에서 분리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방부는 "최근 러시아와 북한 간 군사 협력 강화는 북한의 핵추진잠수함용 원자로 기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라며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