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 지원 종료 한 달 앞, 국내 이용자 절반은 여전히 사용 중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우 10 운영체제(OS) 기술 지원 종료가 불과 한 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하지만 국내 이용자의 절반 가까이가 여전히 윈도우 10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윈도우 11에 대한 거부감을 가진 사용자들이 업그레이드를 꺼리고 기존 OS를 고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안 전문가들은 기술 지원이 중단되면 수많은 개인용 컴퓨터(PC)가 사이버 공격과 해킹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지난 15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MS는 다음달 14일부터 윈도우 10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완전히 종료할 예정입니다. 이후에는 보안 업데이트와 기술 지원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습니다.
서비스가 종료된 운영체제는 새롭게 개발되는 악성코드나 랜섬웨어와 같은 사이버 공격에 특히 취약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거부하는 이용자들, 그 이유는?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이용자들이 이를 거부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글로벌 통계 업체 스탯카운터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윈도우 11의 MS 시장점유율은 49.08%에 불과했습니다.
윈도우 10(45.53%)과 큰 차이가 없으며, 윈도우 7 등 구형 OS 사용자까지 합하면 오히려 윈도우 11 사용자 수가 더 적은 상황입니다.
IT 업계 관계자는 "신규 출하되는 PC에는 자동으로 윈도우 11이 탑재되어 나온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존 이용자들의 업데이트 거부율은 실제로 훨씬 더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용자들이 구식 운영체제를 계속 사용하는 주요 이유는 관성과 호환성 문제 때문입니다. 특히 자체적인 기술 역량이 부족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전용 코드나 프로그램이 새로운 OS와 충돌할 경우, 이를 유지·보수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바일 경험을 중시한 윈도우 11 특유의 인터페이스도 많은 이용자들의 반감을 사고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하드웨어 요구사양 상승, 물리적 업그레이드 장벽으로
윈도우 11의 지나치게 높은 하드웨어 요구 사양도 이용자들에게는 큰 부담입니다.
중앙처리장치(CPU)의 경우, 윈도우 10은 1㎓(싱글코어) 정도만 요구했지만, 윈도우 11에서는 이 사양이 1㎓의 듀얼코어로 상향되었습니다.
램(RAM)은 1GB에서 4GB로, 저장공간은 16GB에서 64GB로 최소 요구사항이 각각 4배씩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하드웨어 사양을 갖추지 못한 PC는 물리적으로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현재 상태에서 업데이트 지원이 종료되어 보안에 취약점이 생긴 PC가 급증할 경우, '좀비PC'가 대량으로 발생할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MS가 외부 침입을 방어하는 보안 프로그램을 더 이상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컴퓨터가 해킹에 취약한 상태로 방치될 수 있습니다.
최우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도 지난 4월 "윈도우 10 기술 지원 종료에 따라 보안 취약점을 이용한 '제로데이' 공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혼란 상황에 대비해 전담반을 설치하여 운영 중입니다. 과기정통부의 '윈도우 10 기술지원 종료대응 종합상황실'은 각 기관에 윈도우 11로의 업그레이드를 권장하고, 서비스 종료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사고에 대비해 전용 백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