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월)

李대통령 "원전 신설에 15년 걸려, 현실성 없다"... 태양광·풍력 강조

이재명 대통령 "원전 신설 현실성 없다... 재생에너지 대대적 확충 필요"


이재명 대통령이 원자력 발전소 추가 건설의 한계를 지적하며 재생에너지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지난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이 대통령은 "원전을 짓는 데 15년이 걸리기 때문에 당장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며 "결국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대대적으로 키워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뉴스1


"AI 시대 전력 수요 급증... 원전 건설, 시기상 맞지 않아"


이 대통령은 인공지능(AI) 산업 확장으로 전력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원전을 더 지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기본 맹점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원전 신규 건설은 최소 15년이 소요되고, 소형모듈원자로(SMR)도 아직 개발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지금 당장 필요한 전력을 가장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은 태양과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라며 "인프라와 전력망을 구축해 산업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원전은 부지 확보와 안전성 문제가 뒤따른다"며 "현실적으로 수십 기의 원전을 추가 건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못박았습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대립적 시각은 불필요"


정부가 추진 중인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과 관련한 논란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대립적으로 보지 말고 오히려 환경부가 확장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제공=한국전력


그는 "한 부처 안에서 에너지와 환경 담당 차관이 갑론을박하며 조율하는 것이, 아예 부처를 분리해 서로 소통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총리 지휘 아래 기재부 예산실이 있듯, 예산처로 분리하더라도 본질은 같다"며 "기후에너지환경부 역시 총리 산하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실용주의적 에너지 정책... 이미 있는 원전은 활용"


이 대통령은 자신을 "철저한 실용주의자"라고 소개하며 "이미 가동 중인 원전은 계속 활용할 것이며, 에너지 믹스 정책은 유지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신규 원전 착공은 시기적·현실적 한계가 뚜렷하다며 "앞으로는 재생에너지 건설에 힘을 쏟을 수밖에 없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