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 사건 기록 회수, 윤석열 전 대통령이 첫 지시자로 특정
채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싼 의혹이 점점 더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특검팀이 이른바 'VIP 격노' 이후 이루어진 채상병 사건 기록 회수의 첫 지시자를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 특정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 10일 SBS의 보도에 따르면, 채상병 순직 사건을 조사했던 박정훈 대령은 2023년 7월 30일, 임성근 사단장을 혐의자로 파악한 조사 결과에 대해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결재를 받고 사건 기록을 경찰에 이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이튿날 윤석열 전 대통령의 이른바 'VIP 격노' 회의 이후 모든 절차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그런데도 박정훈 대령은 8월 2일 당초 조사 결과대로 사건을 경찰에 이첩했고, 이에 국방부는 같은 날 오후 경찰에서 기록을 회수해 갔습니다.
긴박했던 이 과정을 수사해 온 특검팀은 기록 회수의 첫 지시자가 윤석열 전 대통령이라고 특정했습니다.
특검팀 조사에 따르면, 8월 2일 당일 오후에만 윤석열 전 대통령과 10차례 통화한 것으로 드러난 이시원 전 비서관은 "대통령으로부터 기록 회수 지시를 받은 게 맞는 것 같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는 기록 회수 지시가 대통령실에서 직접 내려왔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증언입니다.
또한, 같은 날 오후 신범철 전 국방차관이 주재한 회의에 참석한 유재은 전 법무관리관은 "신 차관이 회의 시작 즈음 전화를 받은 뒤 기록 회수를 지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당시 신 전 차관과 8분 동안 통화한 사람은 바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었습니다.
박정훈 대령에 대한 보복성 수사 의혹
특히 주목할 점은 해당 회의에서 박정훈 대령에 대한 항명죄 입건 지시가 내려진 정황도 포착됐다는 것입니다.
이는 조사 기록을 경찰에 넘기지 말라는 상부 지시를 거부한 박 대령에 대한 보복성 수사로 확대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대통령실 비서관과 국방차관까지 움직여 기록 회수에 직접 관여하고, 박 대령 처분과 관련해 지시도 내린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 특검팀이 10일 신범철 전 차관을 소환함에 따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도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 특검 수사 결과는 채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싼 의혹의 실체를 밝히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대통령의 직접 지시 여부가 확인된다면, 이는 단순한 행정적 절차를 넘어 권력 남용 의혹으로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향후 수사 진행 상황에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