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가 설탕 소비에 미치는 영향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이 설탕 함유 식품 소비 증가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특히 탄산음료와 아이스크림 같은 달콤한 제품의 소비가 더운 날씨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요, 이러한 현상은 저소득층과 교육 수준이 낮은 가정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지난 8일(현지 시간) CNN은 영국 카디프대학교 판 혜 환경과학·지속가능성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한 논문을 인용해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습니다.
연구팀은 2004년부터 2019년까지의 미국 가정용 식품 구매 데이터를 분석했으며, 동일 가족의 소비 내역을 장기간 추적하고 이를 지역별 온도와 습도를 포함한 기상 데이터와 비교했습니다.
온도 상승과 설탕 소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온이 상승할수록 사람들은 탄산음료나 주스와 같은 설탕이 첨가된 음료를 더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 화씨 1.8도의 온난화가 발생할 때마다 미국 가정에서의 첨가당 소비는 1인당 하루 0.7그램 증가했습니다. 특히 화씨 68~86도(섭씨 20~30도) 사이에서 온도가 상승할 때 첨가당 소비 증가폭이 더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연구팀은 더운 날씨가 신체의 수분 손실을 증가시켜 사람들이 수분 보충과 체온 냉각을 원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갑고 달콤한 제품을 더 많이 찾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탄산음료나 아이스크림과 같은 제품들이 더위를 식히는 즉각적인 만족감을 주기 때문에 소비가 늘어난다는 것입니다.
사회경제적 요인과 설탕 소비의 관계
주목할 만한 점은 이러한 현상이 모든 계층에서 동일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연구 결과, 저소득층이나 교육 수준이 낮은 가정에서 기온 상승에 따른 설탕 소비 증가가 더 두드러졌습니다.
연구팀은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로 탄산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접근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연구팀은 공중 보건 관계자들이 기후 변화와 설탕 소비의 관계를 보다 면밀히 파악하여 효과적인 설탕 소비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