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배우들, 넷플릭스에 출연료 인상 요구
일본의 유명 배우 야마다 타카유키가 넷플릭스에 일본 배우들의 출연료 인상을 공개적으로 요청했습니다.
지난 4일 넷플릭스 10주년 기념 행사에 참석한 야마다는 일본 배우들을 대표해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그는 "다른 영화와 비교해서 넷플릭스 출연료는 좋지만, 일본 배우들은 여전히 기업 광고에 의존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본업으로 돈을 벌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요구는 한국 주연급 톱배우들의 넷플릭스 회당 출연료가 3억~5억원에 달하는 등 한국 배우들의 출연료가 폭등하는 상황에서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TV드라마 제작비 현황'에 따르면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의 경우 일본 주인공은 회당 1천만엔(약 9300만원) 이상 받기도 하지만, 이는 한국 배우들과 비교하면 적게는 3~4배, 많게는 10배까지 차이가 나는 금액입니다.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성공이 출연료 격차 키워
넷플릭스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의 제작비는 천문학적 수준에 이르고 있습니다.
'폭싹 속았수다'는 600억원, '오징어게임3'는 1000억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의 회당 드라마 제작비는 20억원이 기본이 된 반면, 일본은 10억원이면 충분한 상황입니다.
넷플릭스가 일본 배우보다 한국 배우에게 더 높은 출연료를 지급하는 이유는 그만큼 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넷플릭스의 실적을 견인하면서 수억 원대 출연료가 아깝지 않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넷플릭스의 올해 2분기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5.9% 증가한 110억7900만 달러(한화 약 15조4400억 원)였으며, 영업이익은 무려 45% 증가한 37억7000만 달러(한화 약 5조2489억 원)에 달했습니다.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인기, 넷플릭스 성장 견인
넷플릭스가 공개한 '올해 상반기 글로벌 시청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가 상위권에 대거 이름을 올렸습니다.
'오징어 게임2'는 상반기 최다 시청 시리즈 2위, '오징어 게임3'은 3위를 차지했습니다. '폭싹 속았수다'는 상반기 3500만회의 시청수를 기록했고, '중증외상센터'는 3400만회, '약한영웅 1, 2'는 각각 2200만회, 2000만회로 총 4200만회의 시청수를 기록했습니다.
여기에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까지 전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한국 콘텐츠가 일본을 압도하면서 정서가 비슷한 한국과 일본 배우 간의 출연료 차이도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넷플릭스로 인한 폭등한 제작비는 국내 콘텐츠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토종 OTT와 방송사들은 높아진 제작비를 감당하지 못해 드라마 제작 편수를 줄이고 있습니다.
2022년 141편에서 2023년 123편, 지난해에는 100여편, 올해는 80여편으로 줄어들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