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1일(목)

빈곤·저학력 청년, 취업·결혼 늦어져... "맞춤형 정책 지원 필요"

빈곤과 저학력, 청년 생애 이행에 큰 장벽으로 작용


청년들의 주요 생애 이행 과정이 빈곤 경험과 학력 수준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청년 이행경로 변화의 파급효과와 인구사회정책적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빈곤을 경험한 청년들과 저학력 청년들은 졸업, 취업, 분가, 결혼 등 주요 생애 단계로의 이행이 상대적으로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5년)부터 18차년도(2022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해 24~39세 청년 약 1,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연구진은 각 개인의 생애를 20대, 30대 초반, 30대 후반으로 구분하고 40세 시점의 삶의 질 지표를 분석했습니다.


빈곤과 학력에 따른 생애 이행 격차 뚜렷


분석 결과 빈곤 경험 유무에 따른 생애 이행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39세를 기준으로 빈곤을 경험하지 않은 청년들이 졸업, 취업, 분가, 결혼 등 4가지 생애사를 모두 이행한 비율은 48.69%에 달했지만 빈곤을 경험한 청년들은 35.25%에 그쳤습니다.


전체 평균은 47.04%였습니다. 또한 39세에 졸업과 취업은 했지만 분가와 결혼을 하지 못한 비율도 빈곤 집단이 16.03%, 비빈곤 집단이 12.33%로 차이를 보였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특히 졸업 이후 취업, 분가, 결혼을 모두 이행하지 못한 비율에서는 더욱 큰 격차가 발견되었습니다


빈곤 집단은 25세 기준 25.64%가 이러한 상태였으며 39세에도 여전히 10.90%나 되었습니다. 반면 빈곤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25세 기준 8.10%였고 39세에는 4.00% 미만으로 크게 감소했습니다.


학력 역시 생애 이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고졸 이하 집단은 같은 연령대라 하더라도 대졸 이상 집단에 비해 4단계를 모두 경험한 비율이 낮게 나타났습니다.


청년 지원 정책 마련 시급


연구진은 "교육, 노동, 분가, 결혼 등의 생애사 단계별 이행이 정체되면 부정적 효과가 누적될 수 있기 때문에 가난하다는 점이 이행에 제약이 되지 않도록 초기 청년을 위한 조기 개입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청년 배낭 계좌' 설립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이행기 청년들이 필요로 하는 욕구를 기반으로 금융, 사회서비스, 훈련 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또한 참여 소득형 청년 일자리 보장제를 실시해 돌봄, 기후 대응 등 사회적으로 가치가 있지만 시장이 창출하기 어려운 일자리를 정부가 청년들에게 제공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