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 관련 MBK파트너스에 대한 금융당국의 추가 조사
금융당국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하여 MBK파트너스에 대한 추가 조사에 전격 착수했습니다.
27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에 위치한 MBK파트너스 본사에 대규모 조사인력을 투입하여 현장조사를 시작했습니다. 이는 지난 3월 검사 이후 약 5개월 만에 다시 이루어지는 조사입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융위와 금감원이 공동으로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불공정거래가 있었는지를 다시 살펴보자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펀드 출자자(LP)를 모집한 방식과 차입매수(LBO)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 부분 등 홈플러스 인수 과정 전반을 재검토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모펀드의 기업 인수와 경영 관행에 대한 감시 강화
앞선 검사에서는 MBK파트너스 경영진이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준비 작업을 숨긴 채 단기 채권을 발행했다는 사기적 부정거래 의혹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번 추가 조사는 최근 홈플러스가 15개 점포 폐점을 발표하면서 정치권과 노동계의 비판이 거세지자 금융당국이 대응에 나선 것으로 해석됩니다.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14일 기자회견을 통해 "15개점 폐점을 즉각 중단하고 회사를 살리기 위한 실질적인 자구 노력부터 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또한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원들은 홈플러스의 일부 점포 폐점 결정과 관련하여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책임을 규명하기 위한 국회 차원의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조사에는 이찬진 신임 금감원장의 의지도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찬진 원장은 지난해 참여연대 정책자문위원장 시절 "(국민연금이) MBK 파트너스에 투자하거나 위탁운용사로 선정하는 것은 가입자인 국민들에 대한 배임행위"라고 비판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