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총 100대 기업 주주환원 35%↑... 삼성전자 9.8조 '최대 규모'
국내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의 주주환원 규모가 2년 새 35%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삼성전자는 단일 기업 기준으로 9조800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을 환원하며 전체 1위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시가총액 대비 환원 비율은 여전히 3%를 밑돌며 구조적 개선 여지는 남아 있다는 분석입니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지난 6월 말 기준 시총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배당 및 자사주 소각 내역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주주환원 총액은 45조5784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022년 33조7240억 원 대비 35.2%(11조8544억 원) 증가한 수치입니다.
전체 환원액 가운데 배당은 37조3201억 원으로 17% 증가했으나, 비중은 오히려 줄었습니다. 2022년 전체 환원액의 94.6%를 차지했던 배당이 2024년에는 81.9%로 낮아졌으며, 그만큼 자사주 소각 비중이 커졌습니다. 소각 금액은 2년 새 1조8349억 원에서 8조2583억 원으로 350.1% 급증했습니다.
시가총액 대비 환원 비율은 같은 기간 2.4%에서 2.7%로 0.3%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이들 100대 기업의 시가총액은 2022년 1405조 원에서 지난해 1665조 원으로 확대됐습니다.
삼성전자 총 9.8조 환원... 시총 대비 비중은 3.6%
삼성전자는 지난해 9조8108억 원을 주주에게 환원하며 전체 기업 중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약 270조 원으로, 이를 기준으로 보면 환원 비율은 약 3.6% 수준입니다.
삼성전자는 막대한 순이익과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주당 배당금 지급은 물론 자사주 소각에도 적극 나섰습니다. 특히 2021년 발표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에 따라 정기적·예측 가능한 환원 방식을 꾸준히 유지해 오고 있으며, 시장에서도 이에 대한 신뢰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외에도 주주환원 규모 상위 기업에는 현대차, SK하이닉스, SK텔레콤, 삼성물산, POSCO홀딩스 등이 포함됐습니다.
KT&G 시총 대비 환원율 10%... 금융주 다수 상위권 포진
시가총액 대비 주주환원 비율 부문에서는 KT&G가 10%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시총 13조4263억 원 대비 주주환원 금액은 1조3413억 원이었으며, 이 중 56.1%는 자사주 소각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
KT&G에 이어 키움증권(9.1%), 우리금융지주(9.0%), 삼성증권(8.0%), SK텔레콤(8.0%), NH투자증권(7.9%), 하나금융지주(7.8%) 등이 상위권에 올랐으며, 이들 중 절반은 금융사로 확인됐습니다.
또한 기아, 삼성물산, SK이노베이션 등은 자사주 소각을 통해 환원 비중을 높인 대표적인 비금융주였습니다.
HD현대일렉트릭 970%↑... S-Oil 97%↓
2022년 대비 주당 주주환원 총액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HD현대일렉트릭이었습니다. 주당 환원액은 500원에서 5350원으로 970% 증가했습니다. 셀트리온, KT&G 등도 두 자릿수 이상 환원액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감소율이 가장 큰 기업은 S-Oil로, 5501원에서 126원으로 97.7% 줄었습니다. HLB, 에코프로비엠, SKC 등은 아예 배당과 자사주 소각을 중단하며 주주환원 활동이 중단됐습니다.
주주환원 수단으로 자사주 소각만을 택한 기업도 눈에 띕니다. SK스퀘어와 크래프톤은 각각 100% 소각 방식으로 환원을 진행했으며, 삼성물산은 1조 원이 넘는 소각 비용을 기록한 유일한 기업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 관계자들은 "시장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면서도 예측 가능한 주주환원 정책을 유지하는 것이 장기 투자 유도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