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기사의 실제 급여, 얼마나 될까?
12년차 CJ대한통운 택배기사의 실제 급여명세서가 온라인 상에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지난 3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CJ대한통운에서 12년째 근무 중인 A씨가 공개한 급여명세서가 올라왔습니다. 공개된 명세서에 따르면 집화·착불 수수료와 각종 비용을 제외한 A씨의 실수령액은 무려 1006만 원에 달했습니다.
급여명세서에는 공제 후 지급액이 약 866만 원, 약 896만 원, 약 1006만 원으로 기재되어 있었는데요. A씨는 "공제 후 실수령액이 평균 800만~1000만 원 수준"이라며 "주 6일 근무하고 일요일과 공휴일은 대체 인력이 배송을 맡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한 "땀 흘린 만큼 정직하게 버는 돈이라 감사하게 생각한다"며 "택배 기사에 대한 인식도 많이 달라지고, 주민들의 이해와 배려 덕분에 책임감을 갖고 일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A씨의 사례는 택배기사 평균 급여를 크게 웃도는 금액입니다.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가 최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국내 주요 택배사 기사 1203명의 월평균 총수입은 516만 9000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회사별 월평균 총수입을 살펴보면 '컬리넥스트마일' 578만 2000원,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 569만 5000원, '롯데택배' 498만 5000원, '로젠택배' 494만 6000원, 'CJ대한통운' 493만 5000원, '한진택배' 471만 1000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 수준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로젠택배'가 50.5%로 가장 높은 만족 비율을 보였으며, 이어서 '컬리' 46.5%, '쿠팡CLS' 46.0%, '롯데택배' 44.5%, 'CJ대한통운' 43.5%, '한진택배' 32.5% 순이었습니다. 특히 야간 기사의 경우, 쿠팡CLS의 소득 만족 비율이 52.7%로 가장 높았습니다.
근무 환경에서도 회사별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 대부분의 택배사는 주 6일 이상 근무 비율이 95%를 넘어 사실상 주 6일 근무 체계를 운영 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반면 쿠팡CLS는 주 5일 이하 근무 비율이 62%에 달해 상대적으로 유연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체별로 소득과 근무여건에 차이가 있는 가운데, 택배업계는 기사들의 피로도 완화를 위해 광복절 연휴에 '택배 없는 날'을 운영합니다. CJ대한통운과 한진은 14~15일, 롯데글로벌로지스와 로젠은 15~16일 배송을 중단한다고 합니다.
한편 지난 2020년 코로나19 초기 택배 물량이 폭증하면서 기사들의 과로 문제가 사회적으로 부각되면서 생겨난 '택배 없는 날'은 설·추석·광복절 등 물량이 집중되는 시기에 자율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올해로 5년째를 맞이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