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유네스코 탈퇴 결정... "미국 우선주의" 원칙 고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에서 미국을 탈퇴시키기로 결정했습니다.
22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뉴욕포스트(The New York Post)는 트럼프 대통령이 유네스코의 반이스라엘 성향과 친중국 기조, 그리고 다양성 정책 등을 문제 삼아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번 탈퇴 결정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2023년 6월 유네스코에 재가입한 지 불과 2년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규정에 따라 내년 12월 말에 공식 발효될 예정입니다.
애나 켈리 백악관 부대변인은 "유네스코가 '워크'(woke·진보 진영의 문화 의제)와 분열적인 문화·사회적 의제를 지지하는데, 이는 미국 국민이 지난 11월 대선에서 선택한 상식적인 정책들과 완전히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언제나 '미국 우선주의' 원칙을 지키면서 모든 국제기구에서 미국의 회원국 참여가 국익에 부합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네스코 정책과 성향에 대한 미국의 문제 제기
트럼프 대통령은 재집권 직후인 지난 2월 미국의 유네스코 회원국 참여에 대해 90일간 검토하라고 행정부에 지시했습니다.
이 검토 과정에서 정부 관계자들은 유네스코의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과 친중국, 친팔레스타인 성향에 심각한 문제의식을 느꼈다고 뉴욕포스트는 전했습니다.
구체적인 문제 사례로는 유네스코의 2023년 '인종차별 대응 지침'(anti-racism toolkit)과 지난해 '남성적 사고방식 전환 이니셔티브'(Transforming MEN'talities initiative) 등이 지적됐습니다. 또한 유네스코가 유대교 성지를 '팔레스타인 세계유산'으로 지정한 점과, 각종 문서에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을 '점령'했다고 표현하는 것, 하마스에 대한 비판 없이 이스라엘을 주로 비판하는 태도 등도 탈퇴 결정의 요인이 되었습니다.
중국이 유네스코에 두 번째로 많은 자금을 제공하는 국가로서 유네스코 고위직에 중국 인사들이 포진해 기구 활동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도 중요한 고려 요소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네스코와 국제사회의 반응
유네스코 측은 미국의 탈퇴 결정을 예상했다면서도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이 결정은 다자주의의 기본 원칙에 반하며 무엇보다 미국 내 많은 파트너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아줄레 사무총장은 "유감스럽지만 이 발표는 예상된 일이었고 유네스코는 이에 대비해 지난 몇 년간 구조 개혁을 단행하고 자금 조달원을 다각화했다"며 "미국의 재정 기여율은 유엔 일부 기관이 40%지만 (우리는) 8%로 감소했고 유네스코 전체 예산은 꾸준히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미국이 탈퇴 이유로 기구의 반이스라엘 성향을 지목한 데 대해 "유네스코의 노력, 특히 홀로코스트 교육과 반유대주의와 투쟁 분야에서 이뤄진 현실과 모순된다"고 반박했습니다.
아줄레 사무총장은 미국의 탈퇴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민간 부문, 학계, 비영리 단체 등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미국은 과거에도 그랬고 앞으로도 항상 환영받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유네스코 본부가 위치한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도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유네스코는 과학, 해양, 교육, 문화, 세계 유산의 보편적 수호자"라며 "미국이 탈퇴하더라도 이 투쟁에 앞장서는 이들과 함께하겠다는 우리의 의지는 결코 약해지지 않을 것"이라고 지지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미국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시절인 1983년에도 정치화와 예산 낭비를 지적하며 유네스코에서 탈퇴한 바 있으며, 이후 조지 W. 부시 행정부인 2002년 10월 재가입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1기 행정부였던 2017년 10월에도 반이스라엘 성향을 이유로 유네스코를 전격 탈퇴했고, 조 바이든 행정부가 2023년 6월 중국 견제를 위해 다시 가입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