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아이돌, 인간 아이돌을 넘어서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전 세계적인 인기 돌풍을 일으키며 가상 아이돌이 인간 아이돌의 인기를 뛰어넘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습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러한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했습니다.
WSJ은 "K팝에서 가장 큰 이름은 BTS가 아니다. 넷플릭스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케데헌의 세계적 인기를 조명했습니다.
특히 이 기사에서는 가상의 아이돌 밴드가 인간 아이돌이 결코 이루지 못한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이 현상을 "초현실적"이라고 표현했습니다.
케데헌에 등장하는 '사자 보이스' 그룹의 멤버 '미스터리' 역할을 맡은 케빈 우(유키스 출신)의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약 2천만 명에 달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케데헌이 인기를 끌기 전까지 그의 청취자 수는 단 1만 명 수준에 불과했다는 사실입니다.
가상 캐릭터가 만든 전례 없는 K팝 기록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WSJ과 인터뷰한 케빈 우는 "가상의 캐릭터를 연기하다 보니 굉장히 초현실적인 느낌"이라며 "사람들은 나를 케빈 우나 K팝 아티스트로 알아보지 못한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케데헌의 성공은 음원 차트에서도 확인됩니다.
애니메이션에 삽입된 노래 중 두 곡은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곡 1위를 차지했는데요. WSJ에 따르면 이는 BTS, 블랙핑크 등 어떤 K팝 그룹도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 아이돌의 성공은 K팝 산업에 새로운 도전과제를 던져주고 있습니다. 특히 음악 산업 전반이 인공지능(AI)과 같은 새로운 기술과 참여자들로 인해 기존의 틀을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현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습니다.
가상 아이돌의 미래와 인간 아티스트의 가치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의 K팝 연구자 김석영 교수는 케데헌의 성공이 팬들이 비(非)인간 아이돌과도 충분히 소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앞으로 이와 유사한 모방작들이 대거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김 교수는 "이건 K팝 기업들의 오랜 꿈"이라며 "여기엔 잠도 자지 않고 아프지도 않고 늙지도 않는 아이돌들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K팝 프로듀서이자 작곡가인 베니 차는 인간 아티스트의 가치를 강조했습니다.
AI 가수와도 작업한 경험이 있는 그는 "진짜 아티스트들이 보여주는 취약성, 화학 작용, 예측 불가능성은 만들어낼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자 보이스의 보컬을 맡은 케빈 우는 "어떤 의미에선 내 예술적 재능을 새롭게 재창조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사자 보이스 활동이 그룹 유키스 시절이나 브로드웨이 공연, 배우로서의 활동보다 더 큰 주목을 받더라도 개의치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