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연내 '모베드' 양산 제품 출시 예정
현대자동차가 올해 말 첨단 로보틱스 기술이 적용된 소형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의 양산 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이번에 선보이는 모베드는 2021년 말 처음 공개된 이후 4년 만에 업그레이드된 버전으로, 현대차 로보틱스랩이 개발한 두 번째 상용화 모델입니다.
앞서 출시된 입는 로봇 '엑스블 숄더'에 이은 두 번째 상용 제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현동진 현대차 로보틱스랩장(상무)은 17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년 한국경제인협회 경영자 제주하계포럼'에서 "올해 말 두 번째 모베드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모베드에는 그리퍼(gripper), 자율주행 기능도 내장돼 있어 다양한 산업과 생활 서비스 분야에서 쓰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단순한 기술 자랑이 아니라 고객이 제품을 쓸 수 있는 가격과 품질, 서비스를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만능 모빌리티 플랫폼
모베드는 스케이트보드와 유사한 형태의 이동 로봇으로, 납작한 직육면체 모양의 몸체에 커다란 바퀴 네 개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 바퀴 덕분에 기울어진 도로에서도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가장 큰 장점은 상단에 어떤 장치를 올리느냐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1인용 모빌리티로 활용할 가능성도 있어 미래 이동수단으로서의 잠재력도 갖고 있습니다.
연말에 출시될 예정인 새로운 모베드는 단순히 물건을 지정된 장소로 옮기는 기능을 넘어,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고 대응하는 고급 기능도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술과 서비스의 융합을 추구하는 현대차의 로보틱스 전략
현 상무는 현대차의 자율주행 전략에 대해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등 다양한 센서의 조합으로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센서 모달리티'에 방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살 만한 가격에 매우 쓸 만한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게 목표"라며 "단순 이동수단이 아니라 사용자 관점에서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현 상무는 로보틱스를 '단순한 하드웨어 제조가 아니라 기술과 서비스의 융합'으로 정의했습니다.
그는 "로보틱스는 '비싸지만 좋은 기술'이 아니라 '쓸 만하고 살 수 있는 기술'이어야 한다"며, "제품 퍼포먼스뿐만 아니라 품질 관리, 유지·보수, 애프터서비스(AS)까지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