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한 보복관세 방침을 밝힌 중국에 대해 미국이 9일(현지 시간)부터 50% 추가 관세를 적용한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중국에 20%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34%의 상호관세를 더한 상태다. 이에 50%의 추가 관세까지 적용된 중국은 미국에 총 104%의 관세를 물어야 한다.
지난 8일 캐롤라인 레빗(Karoline Leavitt)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 언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7일 예고한 50%의 대중 재보복 관세가 9일부터 시행되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9일 오전 0시 1분부터 발효된다. 내일(9일)부터 시행된다"고 답했다.
이는 전날 중국 상무부가 미국에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미국이 관세를 올리면 중국은 자국의 권리와 이익을 지키기 위해 단호한 반격 조치를 취하겠다"고 단언한 데 이어진 조치다.
이와 관련해 레빗 대변인은 "중국이 보복한 것은 실수였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한 대 맞으면 더 세게 받아친다. 오늘 밤 자정에 중국에 대해 104%의 관세가 발효되는 이유"라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중국이 (미국과) 협상하길 원한다. 다만 그들은 어떻게 시작하는지 모르고 있다"면서 "대통령은 중국이 협상을 위해 연락한다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관대하겠지만 미국 국민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더불어 중국이 먼저 연락해야 한다고 강조한 그의 발언으로 보아 미국은 중국은 창과 창의 대결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또 그는 "70개 가까운 국가가 협상을 위해 미국에 접촉하고 있다"면서 "모든 개별 협상은 그 나라의 시장, 수출, 미국의 수입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으로 독특한 것이 돼야 한다"이라고 덧붙였다.
무역 협상 시 한국과 일본 등 동맹을 우선시하기로 했다는 케빈 하셋(Kevin Hassett)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의 발언에 대해서는 "우리는 전 세계 파트너와의 동맹을 우선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상호관세 유예 가능성에 대해서는 "대통령은 연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최근 미국이 중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 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는 허위정보로 뉴욕증시가 대혼란에 빠지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