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더블린 시의회가 유명한 몰리 말론 동상에 대한 관광객들의 접근을 제한하는 조치를 시행한다.
이 동상은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속설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가슴 부분을 만지는 바람에 표면이 심하게 벗겨졌다. 이러한 행동에 대해 현지인들은 "부적절하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지난 3일(현지 시간) 영국 BBC에 따르면, 더블린 시의회는 다음 달부터 한시적으로 몰리 말론 동상 옆에 직원들을 배치해 관광객들이 동상을 만지지 못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변색된 표면을 복원할 예정이다. 이 동상은 세인트 앤드루스 스트리트에 위치하며, 수레를 끌고 생선을 파는 소녀 몰리 말론을 형상화한 것이다.
비록 가상의 인물이지만, 아일랜드 노동 계급의 비극적인 삶을 상징하며 더블린의 주요 관광 명소로 자리 잡았다.
몰리 말론은 전통 민요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그녀의 사연은 영국 식민통치 시절 아일랜드인의 고난을 담고 있다.
1988년에 세워진 이 동상은 '가슴을 만지면 행운이 온다'는 속설 덕분에 관광객들의 필수 방문 코스로 자리 잡았다.
많은 관광객들이 인증샷을 찍기 위해 동상의 가슴 부분에 손을 대었고, 일부 여행 가이드들은 단체 관광객들에게 이를 권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러한 행동이 동상을 모욕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더블린에서 버스킹 공연을 하는 틸리 크립웰은 '몰리 말론 지키기' 운동을 시작하며 "관광객들이 동상의 가슴을 만지는 것은 역겨운 행동이며 어린 세대에게 나쁜 본보기가 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논란 속에서 더블린 시의회의 이번 조치는 문화유산 보호와 존중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몰리 말론 동상이 상징하는 역사적 의미와 그 가치가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번 조치의 핵심이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리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