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강지원 기자 = 차량 뒷발판에 매달려 다니는 환경미화원들 사이에서 잇따라 사고가 발생하자 정부가 '중소형 한국형 청소차' 개발에 나섰다.
지난 2일 환경부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달 26일 최근 좁은 길에서도 운행이 가능한 중소형 청소차 개발을 위해 예산 2억 5000만 원을 배정했다.
지난 2018년 환경미화원 안전을 위해 서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따로 만든 저상형 청소차를 도입했지만 크기와 비용 탓에 현장 실용성은 떨어졌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노후 차량을 교체하는 시점이 되어야 신형을 도입했다. 그러다 보니 지난해까지 전국에 보급된 저상형 청소차는 224대에 그쳤다.
현재 전국의 쓰레기 청소차가 4000대인 것에 반해 턱없이 모자란 수다.
이에 여전히 기존 차량 불법 발판에 매달려 일하는 환경미화원들이 다수였다.
환경미화원들은 '매달리기' 작업이 위험하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지만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 포기할 수 없다고 토로한다.
좁은 골목에 있는 쓰레기 수거를 위해 직접 이동해야 하는 특성상 반복적으로 승하차해야한다.
차량에 탑승했다 내리기를 반복하면 그만큼 시간 소요가 많이 되는 터라 결국 차량 발판에 매달려 작업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지난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생활폐기물 상하차 수거 작업 등을 하다 사망한 환경미화원이 23명에 달한다.
올해에만 3명이 사망했다.
근무 도중 부상을 입은 환경미화원은 5년간 무려 3771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지난 3월 강원도 원주에서 뒷발판에 매달려 작업하던 30대 환경미화원이 음주운전 차량에 치여 우측 발을 절단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7월에도 서울 구로구에서 음주 운전 차량이 청소차를 덮쳐 뒷발판에 매달려 있던 60대 환경미화원이 다리를 절단해야 했다.
이에 환경부는 "골목길에서도 운행할 수 있는 크기의 저상형 차량을 개발해 달라는 현장 요구가 많았다"며 "중소형 청소차가 개발될 경우 5t 청소차보다 비용이 저렴하고 현장 수요도 높아 작업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국형 청소차 개발의 이유를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