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지미영 기자 = 이태원 참사 1주기가 다가오면서 서울시가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지난 25일 서울시와 광진구는 건대입구 '맛의 거리'에서 인파밀집 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이날 '맛의 거리'를 찾은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능형(AI) 폐쇄회로(CC)TV를 활용해 위험 징후를 사전에 알리는 인파감지 시스템을 직접 점검했다.
시는 인파 밀집 위험단계를 '주의-경계-심각' 3단계로 구분한 뒤, 좁은 골목(30㎡)의 밀집도에 따라 시와 유관기관이 인파 해산을 위해 대응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단계별로 주의는 1㎡당 3명(30㎡ 골목에 약 90명), 경계 단계는 1㎡당 4명(약 120명), 심각 단계는 1㎡당 5명(약 150명)이 밀집한 상황을 가정했다.
우선 골목에 약 60명이 운집한 상황에서 행인이 119에 신고하는 상황을 가정하며 훈련이 시작됐다.
행인의 신고 내용은 서울시 재난안전상황실에 공유됐고,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경찰, 소방 등에 전달됐다.
주의 단계에서는 광진구 재난안전상황실이 구 CCTV 통합관제센터에 연락했으며, 인파감지 CCTV에 달린 스피커를 통해 인파 해산방송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후 현장에서는 "현재 건대의 인구밀집도는 주의 단계로 안전사고 위험이 높다. 좁은 골목으로 진입하지 마시고 차량 통행에 주의해 이동하시길 바란다"라는 인파 해산 협조 안내가 수차례 방송됐다.
경계 단계에서는 인근을 순찰하던 광진구 현장대응조가 밀집 장소에 투입돼 인파 해산에 나섰다.
이윽고 인파가 150명까지 늘어 심각 단계에 이르자 훈련에 나선 시민들은 가슴을 부여잡은 상태로 비명을 지르며 고통을 호소했으며, 바닥에 쓰러지는 부상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때 광진구 현장대응반뿐만 아니라 광진경찰서와 광진소방서 인력이 함께 현장에 투입됐다.
경찰은 붐비는 골목의 진입을 차단했고, 광진구 현장대응조와 소방관은 인파를 해산하고 부상자를 구출하는 데 힘을 썼다.
시는 심각 단계의 경우 자치구뿐만 아니라 서울시와 경찰, 소방에도 자동으로 경보 알림이 가게끔 시스템이 구축돼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도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두고 많은 인파가 모일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사전 점검에 나섰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25일 중앙지방안전점검회의에서 "아무리 좋은 제도와 시스템도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면 소용없다"라며 "지역별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시스템을 구축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노력해달라"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