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함철민 기자 = 국민의힘이 경기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이런 가운데 서울 인근 인접 도시의 서울 편입 가능성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내에서 고양시의 서울 편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총선을 앞두고 서울 인접 지역들의 편입 요구가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31일 윤재옥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회 원내대책회의를 마친 뒤 김포의 서울 편입과 관련해 "정책위에서 검토할 것으로 알고 있고, 아무래도 의원입법 형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행정안전부가 김포시·서울시·경기도 등과 의견을 수렴해 관할구역 변경 법안을 제출할 수도 있지만 정부 입법은 지자체 간 이견이 있을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어 의원입법으로 추진하려는 것으로 관측된다.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서울시와 경기도 가운데 한 광역단체가 반대하더라도 김포시의 의지만으로 서울 편입이 가능하다.
국민의힘이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적극 추진하면서 김포는 물론 서울의 다른 생활권 도시들도 서울 편입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30일 김종혁 국민의힘 고양병 당협위원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김포뿐만 아니라 고양도 서울로 편입시켜 행정권과 생활권을 일치시키길 바란다"며 "경기 인구 1300만명. 너무 많다"고 했다.
앞서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도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거론하면서 다른 지역의 편입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김 대표는 전날 경기 김포한강차량기지에서 열린 '수도권 신도시 교통 대책 마련 간담회'에서 김 대표는 "김포뿐만 아니라 인접한 도시 중 이런 문제의 도시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주변 도시들의 생활권·통학권·직장과 주거지 간 통근 이런 것이 서울시와 같은 생활권이라고 한다면 행정 편의가 아니라 주민 편의를 위해 주민 의견을 존중해서 원칙적으로 서울시에 편입하는 것을 우리 당은 앞으로 당론을 정하고 추진하려고 하고 있다"고 했다.
서울과 맞닿아 있는 고양시 역시 일산 신도시 등에서 서울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많다. 국민의힘 당내에선 고양시 이외에도 구리시, 광명시, 하남시 등이 편입 가능성이 있는 도시로 거론된다.
메가시티에 대한 발언도 나왔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MBC라디오에서 '메가시티가 시대의 트렌드다. 예를 들어 상하이, 베이징 같은 데를 보면 2000만, 3000만명 이렇게 간다"고 말했다.
또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서울은 아직 작다'는 글을 통해 "세계 도시와의 인구수 비교에서 서울은 38위, 면적은 605㎢로 상위 38개 도시 중 29위밖에 안 된다"고 적었다.
이어 "고양, 구리, 하남, 성남, 남양주, 의정부, 광명, 과펀, 얀양 등도 주민의 뜻을 묻지 않을 수가 없다. 메가시티로 주민 불편을 덜어드리고 국제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작금의 트렌드"라고 했다.
일각에서는 국민의힘이 김포시의 서울 편입을 꺼낸 이유가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로 확산된 '수도권 위기론'을 잠재울 승부수가 필요했기 때문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경기도 일부 지역의 서울 편입이라는 담론을 여당이 수도권 총선 전략으로 먼저 내세워 야당에 우위를 점하기 위함이라는 분석이다.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포를 서울로 편입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당 내부 결론을 내렸다'는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의 언급에 대해 민주당의 입장을 묻자 '굉장히 뜬금없는 발표'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런 행정구역 개편은 굉장히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