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최민서 기자 = '고소득 일자리'로 손꼽히는 의사 소득이 최근 가파른 증가세를 이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평균소득은 변호사의 2.5배 수준이었으며 증가폭은 4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전 세계 1위 수준이다.
이는 국세청의 종합소득세 신고분, OECD '2023년 보건통계'(Health Statistics 2023) 등을 분석한 결과다.
29일 국세청 등에 따르면 의료업(의사·한의사·치과의사)의 평균 소득은 2021년 기준 2억 6,900만원이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4년(1억 7,300만 원)과 비교하면 7년간 9,600만 원(55.5%) 증가했다.
세법상 소득금액은 매출인 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를 뺀 금액으로 별도의 종합소득을 신고하는 '개원의'에 해당한다.
이들의 소득은 2020년을 제외하고 매년 1000만 원 이상 소득이 늘었고 증가 폭도 커지고 있다. 특히 2021년에는 전년보다 3,400만 원 늘기도 했다.
이런 증가세는 변호사와도 비교된다. 변호사업 평균 소득은 2014∼2021년 1억 200만 원에서 1억 1,500만 원으로 약 1300만 원(12.7%) 증가했다.
증가율 기준으로 의료업의 5분의 1 수준이다.
변호사 숫자가 매년 빠르게 늘어나는 것과 달리 '의대 정원 동결'과 맞물려 의사 숫자 증가세가 크게 제한된 시장 구조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의사 정원은 2003년 3천253명, 2004∼2005년 3천97명, 2006년에는 3천 58명까지 줄어든 뒤 17년째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반면 변호사 수는 1995년 사법개혁의 일환으로 사법시험이 변호사 자격시험으로 전환되고 2007년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제도까지 도입되면서 빠르게 늘어났다.
OECD의 '2023년 보건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문의 가운데 병·의원 봉직의(salaried, specialists) 연간 임금소득은 2010년 13만6천104달러에서 2020년 19만2천749달러로 42% 증가했다.
총 26개 회원국 대상으로 대체로 2011~2021년 수치를 기준으로 했지만, 우리나라와 프랑스, 그리스, 영국 4개국은 가장 최신 자료를 기준으로 2010~2020년 수치를 적용했다.
다만 미국, 일본 등 일부 회원국은 데이터가 없어 OECD 통계에서 빠졌다.
한편 지난 2010년 OECD 5위 수준이었던 우리나라 봉직의 임금소득은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그 뒤로는 네덜란드(19만 2,264달러), 독일(18만 8,149달러), 아일랜드(16만 5,727달러), 영국(15만 5,419달러), 덴마크(15만 1,150달러) 등이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