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인사이트] 강지원 기자 = 구독자 93만 여명을 보유한 과학 유튜버 궤도가 공공기관 소속으로 근무하면서 '겸직 규정'을 어긴 사실이 드러나 징계 처분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궤도는 최근 넷플릭스 게임쇼 '데블스 플랜'에도 출연하며 관심을 받은 바 있다.
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기관인 한국과학창의재단 직원으로 근무하면서도 수년간 유튜브와 강연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했다.
11일 감사원의 '출연출자기관 경영관리 실태' 보고서에 의하면 궤도는 2015년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유튜브 출연이나 기고, 저술 등을 통해 법령상 금지된 수익을 냈다.
Youtube '안될과학 Unrealscience'
궤도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유튜브 채널 '안될과학'에서 유료 광고가 포함된 36개의 영상을 비롯해 총 284개 영상에 출연했다.
또 그는 유튜브 채널을 주식회사 '모어사이언스'로 전환하면서 법인 지분 15%를 취득해 2대 주주가 됐다. 궤도가 2대 주주로 있는 법인은 2021년 매출액이 6억 8600만 원에 달했다.
감사원은 궤도가 영상 출연과 회사 지분을 취득하면서 수익을 벌어들인 것이 국가공무원 복무 규정에 위반한다고 지적했다.
국가공무원 복무 규정은 영리 추구가 뚜렷하고 계속 재산상 이득을 목적으로 하는 외부 업무 활동을 제한하고 있다.
Youtube '안될과학 Unrealscience'
특히 궤도가 출연한 284개 영상 가운데 245개 영상이 자정 이후에 촬영됐는데 감사원은 이를 복무 규정상 '직무 능률을 떨어뜨리는 영리 행위'이므로 겸직이 불가하다고 꼬집었다.
궤도는 이외에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143회의 다른 유튜브 채널에 출연했다. 겸직 허가 없이 이뤄진 235회의 강연, 라디오, 방송, 저술, 칼럼 기고 등으로 8947만여 원의 사업 및 기타소득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재단도 유튜브 관련 규정을 지난해 7월에서야 구체화 하는 등 그간 직원의 외부 활동 관리를 부실하게 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Youtube '안될과학 Unrealscience'
결국 감사원은 감사 결과를 토대로 재단에 궤도를 정직 처분할 것을 통보했고 재단은 이의 없이 이를 따르기로 결정했다.
이와 관련해 궤도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흡했던 부분이 많이 있었다. 콘텐츠를 만드는 데만 신경을 써서 관련 규정을 잘 몰랐다"면서 "감사 결과를 인정하고 달게 처분받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다만 재단 업무와 관련해서는 소홀히 한 적이 없으며 지난해 8월 재단 측에 사직 의사를 밝혔으나 감사가 시작되며 지금까지 사직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목적 자체가 과학 대중화에 있었고 업무를 하면서 아무것도 바뀌는 게 없다 보니 개인으로 뭔가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이를 시작했다"며 "어쨌든 재단에 피해를 주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