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늄·토륨 섞인 핵 물질...유동 인구 10만 명인 판교 한복판에서 기화
[인사이트] 정봉준 기자 = 하루 평균 유동 인구 10만 명이 오고, 다니는 경기도 성남 판교 신도시 한복판에서 핵 물질이 기화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12일 조선일보는 박성중 국민의힘 의원이 밝힌 걸 토대로 한국원자력재단(재단) 연구실에서 발생한 일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재단은 2016년부터 관리하고 있었던 핵 물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
2016년, 재단은 방사성 핵 물질인 우라늄(U-232) 5.0283g과 토륨(Th) 5.1123g을 산에 녹인 액체 상태로 관리하고 있었다.
문제는 2018년 '라돈 침대 사건' 이후에 발생한 일이다. 라돈 침대 사건은 시중에 유통되던 침대 매트리스에서 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검출된 사건이다.
당시 정부는 이 사건이 발생한 이후 핵 물질 관리 업무 체계를 바꿔 재단에는 공항·항만 방사선 감시기 교육 업무를 맡겼다.
그리고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하 기술원)에 핵 물질 안전 관리를 담당하게 했다. 재단이 갖고 있던 핵 물질·장비·인력 등은 기술원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당시 기술원은 장비·인력은 가져갔지만, 핵 물질은 인수하지 않았다.
핵 물질 이관 사실 거짓으로 보고한 재단..."핵 물질 보유 현황을 허위로 작성하고 은폐하려 한 것은 범죄"
기술원은 '이미 사용한 적이 있는 물질로 쓸모가 없다'는 취지로 거부 사유를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그렇다고 해서 재단이 핵 물질을 관리할 수는 없었다. 재단은 핵 물질 관리 능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재단은 서류상으로만 기술원에 이관된 것이라고 '허위 기록'을 하고, 핵 물질을 재단 연구실 구석에 방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통제원은 재단에 현장 점검을 나섰다. 2019년에는 핵 물질이 그대로 보존돼 있었지만, 3년 뒤인 2022년 점검에서는 핵 물질이 보이지 않았다. 미량이지만, 핵 물질이기 때문에 관리를 신중히 했어야 했는데 재단은 관리를 소홀히 했다.
박 의원은 핵 물질이 사라진 걸 두고 "비록 미량이라고 해도 핵 물질 보유 현황을 허위로 작성하고 은폐하려 한 것은 범죄와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도시 한복판에서 방사선 피폭이 발생하지는 않았을지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