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함철민 기자 = 대통령실이 의사 증원 확대의 방향성만큼은 타협의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난 16일 채널A에 따르면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국민들을 위해서는 분명히 설득을 하고 가야 할 부분이지 타협의 대상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의료계와 협의를 거치겠지만 파업 등 반발 때문에 접었던 지난 정부와는 다를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최근 의대 정원 확대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의사 수 확대는 국민들의 오랜 염원이었다"며 "선거에 도움이 안 된다는 의견도 있지만 해야 할 일은 해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내에서는 매년 천 명씩 의대 정원을 늘리는 안을 검토 중이지만, 대통령실은 의료시설과 대학 등 인프라를 감안해 신중하게 규모를 검토해 보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정원 확대 문제는 문재인 정부 시절인 지난 2020년에도 매년 400명씩 늘리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의사들의 집단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이번에도 대한의사협회는 정부의 방침이 공식화하면 파업 등 총력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한의사협회는 오늘(17일) 오후 7시 긴급대표자회의를 열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의대 정원 확대 규모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오늘 회의에는 의협 산하 전국 시도 의사회장과 개원의협의회를 비롯해 전공의협의회와 공중보건의사협회 등 젊은 의사들도 참석할 예정이다.
의협은 "그동안 정부와 협의체 등을 통해 의대 정원 확대 폭을 논의해 왔는데 최근 일방적인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며 절차상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앞서 의사협회 대의원회는 어제 입장문을 통해 "의대 정원 문제는 단순한 산술적 셈법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