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최민서 기자 =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의 총파업 찬반 투표가 가결되면서 파업 수순을 밟게 됐다.
16일 서울교통공사 등에 따르면 공사 노조 연합교섭단이 지난 12일부터 이날 오후 2시까지 조합원을 대상으로 벌인 총파업 찬반 투표 결과 찬성률 73.4%로 파업이 가결됐다.
이번 투표에는 조합원 1만 4,049명 중 81%인 1만 1,386명이 참여했으며 그중 8,356명(73.4%)이 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측과 연합교섭단의 쟁점은 '인력감축' 문제다.
대규모 적자에 시달려온 사측은 경영정상화를 위해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다며 현재 공사 전체 정원의 약 13.5%에 달하는 2,211명을 2026년까지 감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서울 지하철 누적 적자 규모는 17조 6,808억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조는 무리한 인력 감축이 안전 문제로 직결될 수 있다며 감축안 철회를 요구 중이다.
노조 연합교섭단은 "서울시는 2021년과 2022년에 이어 노사 합의를 3년째 무시하고 일방통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공사와 노조 연합교섭단은 지난 7월 11일 제1차 본교섭을 시작한 이후 10차례 교섭(본교섭 3회·실무교섭 7회)을 진행했으나 결렬된 바 있다.
연합교섭단은 오는 17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최종 조정 회의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할 시, 다음 날인 18일 오전 10시 시청 앞에서 '서울교통공사 양 노조 총파업 투쟁 방침 공표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노조가 파업해도 서울 지하철 운행이 전면 중단되는 것은 아니다.
지난달 25일 공사는 시민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연합교섭단과 실무 협정을 맺었기에 노조가 파업하더라도 지하철 운행에 필요한 최소 인력은 유지한다. 다만 이는 최소 인력이므로, 총파업이 시행될 경우 출퇴근에 적지 않은 영향이 미칠 전망이다.